목적 : 말초혈액을 이용한 염색체 회수과정에서 적절한 시약의 사용은 최종적으로 분석하는 염색체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용된 시약들의 기본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그 적정조건과 허용범위를 알아보고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세포분열을 유도하는 phytohaemagglutinin 농도변이는 7㎕/㎖, 15㎕/㎖, 30㎕/㎖, 60㎕/㎖, 100㎕/㎖로 하여 배양액에 처리하여 전체 회수된 세포 중 분석가능한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로 최적농도를 알아보았다. 유사분열억제제인 colcemid의 최적 농도 변이는 0.01㎍/㎖, 0.02㎍/㎖, 0.05㎍/㎖, 0.1㎍/㎖, 0.2㎍/㎖, 0.4㎍/㎖로 하여 최적 농도를 알아보았다. 세포내로 저장액의 유입을 유도하여 세포내 염색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저장액(0.075M KCl)에의 노출 시간변이는 10분, 20분, 30분, 40분, 60분으로 하였다. 기본적인 염색체 회수과정에 더하여 미세한 band를 얻기 위한 과정으로 colcemid의 최종농도 0.02㎍/㎖하에서 ethidium bromide의 농도변이를 0㎍/㎖, 5㎍/㎖, 7.5㎍/㎖, 10㎍/㎖, 20㎍/㎖로 첨가하였다. 결과 : 전체 회수된 세포중 분석가능한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로 최적농도를 알아 본 결과 phytohaemagglutinin 15㎕/㎖에서 전체세포중 분석가능한 세포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다. 유사분열억제제인 colcemid의 최적 농도는 0.05㎍/㎖에서 유사분열 중기 상태면서 염색체간 겹침이나 꼬임이 많지 않아 염색체 분석에 적당한 상태인 염색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저장액(0.075M KCl)에의 노출 시간은 20분에서 염색체가 서로 많이 뭉치지도 흩어지지도 않은 적당한 분포상태를 유지함을 볼 수 있었다. colcemid 최종농도 0.02㎍/㎖ 처리 전에 ethidium bromide 5㎍/㎖이나 7.5㎍/㎖을 처리함으로서 미세 band의 분석이 가능한 긴 염색체의 회수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말초혈액을 이용한 인류염색체 분석과정에서 phytohaemagglutnin 15㎕/㎖, colcemid 0.05㎍/㎖, 20분간의 저장액 노출이 각 과정에서 조화를 이루어 처리되었을 경우, 분석에 적합한 상태의 염색체 회수가 이루어졌다. 만일 좀 더 많은 band를 보아야 할 경우에는 동일조건의 phytohaemagglutnin, 저장액처리와 함께 0.02㎍/㎖ colcemid에 5㎍/㎖이나 7.5㎍/㎖의 ethidium bromide의 첨가시 분석 가능한 긴 염색체의 회수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o find out the optimal conditions of human chromosomal analysis protocol in peripheral blood sample Methods : The experiments were made with the variations of phytohaemagglutinin, colcemid, ethidium bromide concentration and the variations of hypotonic solution exposure time. Results : In the experiment on the optimal phytohaemagglutinin concentration, the highest mitotic index in the overall collected cells was obtained in phytohaemagglutinin concentration 15㎕/㎖. In the experiment on the concentration of mitotic arrestant colcemid, the proper chromosomal state that is meta phase stage and doesn't have many chromosomal crossings or tangles was obtained in colcemid concentration 0.05㎍/㎖. In the experiment on the optimal exposure time of hypotonic solution(0.075M KCl) treatment, the most suitable intervals between chromosomes were subtained in 20 minutes. In the experiment on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ethidium bromide to obtain minute chromosomal bands, the best result was when ethidium bromide concentration 5㎍/㎖ or 7.5㎍/㎖ was addition to colcemid concentration 0.02㎍/㎖. Conclusion : The combination of phytohaemagglutinin 15㎕/㎖, colcemid 0.05㎍/㎖, hypotonic solution exposure time for 20 minutes is important to the collection of appropriate chromosome state in human chromosomal analysis using peripheral blood. In the case that needs to obtain minute bands, the elongated chromosomes are obtained when ethidium bromide 5㎍/㎖ or 7.5㎍/㎖ in addition to colcemid concentration 0.02㎍/㎖ with the same conditions of phytohaemagglutinin and hypotonic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