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SCOPUS
자궁외임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Ectopic Pregnancy
정병욱(Byung Wook Jung),김종대(Jong Dae Kim),장은철(Eun Chul Jang),손은식(Eun Sik Son),최호준(Ho Joon Choi),신승권(Seung Gwon Shin)
UCI I410-ECN-0102-2009-510-005375343

목적 : 자궁외임신은, 산부인과 영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응급 상황으로, 사망률은 현저한 감소를 보이나, 여전히 모성 사망의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수술했던 자궁외임신 250예를 임상적으로 분석 고찰하여, 자궁외임신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5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 본 가톨릭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외임신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았던, 25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조사된 기간동안, 총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 비율은 1 : 63으로, 연도별 빈도는 별 차이가 없었다. 호발 연령 분포는 31∼35세로 33.6%가 발생되었으며, 과거에 인공유산이나 수술받은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발생률이 더 높았다. 임상 증상은, 최종 월경일로부터 6∼8주 사이에 하복부 통증이 가장 흔하게 발생했으며, 복강내 출혈량은 500ml미만이 가장 흔했다. 치료는, 모든 경우에서 개복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대부분이 난관 팽대부에 착상이 되어있어 난관 절제가 80.8%로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결론 : 산부인과적 응급 질환인 자궁외임신은, 3∼4년 전에는 감소하였으나, 최근 몇년간 그 발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자궁외임신의 주요 임상증상들이 초기에 출현하므로, 임신초기의 많은 관심과 복식 또는 질식 초음파, 혈청 β-hCG 측정 및 진단적 복강경 검사등 다양한 검사들은, 자궁외임신의 조기 진단에 꼭 필요하다하겠다. 그리고, 적절한 치료로 증상의 악화와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추후 정상 임신의 가능성과 그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Although the mortality rate of ectopic pregnancy was markedly decreased, ectopic pregnancy is still major cause of maternal death. The authors surveyed 250 ectopic pregnancies for advice to detection and treatment of ectopic pregnancy. Method : The authors studied retrospectively 250 cases which hav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Catholic Hospital Mokpo for ectopic pregnancy from January. 1, 1995 to December. 31, 1999. Result :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during 5 years was 1 : 63 normal deliveries. About 33.6% of cases occurred in 31∼35 years old group, and a number of cases were involved in patients who had previous artificial abortion or abdominal operation history.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first day of last menstruation and onset of symptoms was 6∼8 weeks about 61.2%. The amount of intra-abdominal bleeding was less than 500ml in 47.6%. Most of cases were implanted to ampullar portion of fallopian tube and salpingectomy was done in 80.8%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terest in early pregnancy for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s in ectopic pregnancy. It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ubsequent pregnancy possibility and prognosis by preventing from the aggravation of symptoms and occurrence of complic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