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층침입태반(Placenta percreta)은 자궁벽의 전층을 침범하는 드문 질환으로 임신 혹은 분만중에 자궁천공이나 파열을 일으키거나 수술중에 17리터까지의 많은양의 출혈을 동반할 수 있으며1 심한 출혈로 산모와 태아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초음파 발달이전에는 대부분에서 분만중에 발견되었으나 최근에는 초음파진단의 발달로 인해 산전진찰중에 진단되는 경우가 있으며 대부분 임신 30주 이후에 진단되며 20주 이전에 진단되는 경우는 드물다.2 원인은 탈락막의 결핍으로 태반융모가 직접 자궁근층에 부착되어 발생하며 탈락막결핍은 자궁내막의 손상(제왕자궁절개술, 자궁내막소파술등)으로 인해서 주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광까지 침습한 심한 형태의 자궁근층침입태반은 아주 드물어서 1994년까지 세계적으로 20예만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보고에 의하면 산모의 생명에 치명적인 출혈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병이 의심되면 충분한 양의 혈액확보와 함께 환자나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며 비뇨기과와도 수술전 상의가 필요하다. 방광을 침습한 자궁근층침입태반의 경우 수술시 다량의 출혈을 줄이기 위해 자궁체부위 절개술과 자궁적출전에 자궁혈관을 먼저 결찰하거나 수술 후 출혈량을 줄이기 위해서 자궁경부를 제거하는등의 수술지침등이 발표되고 있다.1 본원에서는 31세 무월경 38주의 산전 초음파 검사상 전전치태반 및 감입태반이 의심되는 산모에서 제왕자궁절개시 전전치태반, 자궁근층침입태반외에 방광침습까지 동반된 1예를 치험하였다. 수술 전후에 약 4800cc의 혈액을 수혈하였으며 비뇨기과와 공동으로 제왕자궁적출후 방광 부분절제와 경피적 방광루를 설치하였고 환자는 수술 후 17일만에 합병증없이 퇴원하였다. 이에 관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본원 치험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Placenta percreta with bladder invasion is an extremely rare complication causing life-threatening hemorrhage, up to 17 liters.1 Most reported cases have been diagnosed after 30 weeks of pregnancy and few have presented before 20 weeks.2 Only 20 cases of placenta percreta with invasion of the bladder have been reported during last decade. In this condition, chorionic villi attach directly to the myometrium without intervening decidua. The exact etiology of impaired decidualization is unknown; however, a previous endometrial insult, such as previous cesarian section or endometrial curettage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To avoid massive bleeding, uterine body incision, hypogastric artery ligation before hysterectomy and uterine cervical removal have been attempted.1 Chorionic villi may attach to the myometrium (accreta), invade the myometrium(increta), or in its severe form (percreta) the trophoblastic tissue penetrates the whole myometrium and invades adjacent structures. We experienced a case of placenta previa percreta with bladder invasion and review the lit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