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SCOPUS
자궁내막증 치료에 있어 복강경술의 효용성 - 심재성 자궁내막증을 중심으로 -
The Efficacy of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especially Deep Endometriosis
박찬우(Chan Woo Park),박양서(Yang Suh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73127

목적: 자궁내막증은 1985년 개정된 미국 불임학회의 임상분류 (rAFS,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에 의해 병변의 크기, 양상, 깊이, 자궁 부속기 유착 및 맹관의 폐쇄 정도에 따라 1기부터 4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Martin등에 의해 복막으로부터 병변의 깊이에 따라 표재성(superficial, <1mm), 중재성(intermediate, 2∼4mm), 심재성(deep, >5mm), 중심재성(very deep, >10mm)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심재성 자궁내막증은 호르몬 수용체가 결여되고 주위 조직과의 유착으로 약물의 침투가 불가능하여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는 복강경술을 이용한 치료가 보편화 되고 있으나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경우 복강경술시 촉지가 불가능하여 병변의 깊이를 알기 어렵고, 심재성 자궁내막증 Type Ⅱ의 경우 직장이 맹관이나 자궁천골인대에 유착을 형성하여 해부학적 구조가 소실된 채 병변이 감추어 질 수 있으며, Type Ⅲ의 경우 병변이 골반저에 함몰되어 육안으로는 작은 병변으로 간과되어 볼완전한 수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증의 치료에 있어 심재성 자궁내막증을 중심으로 복강경술과 개복술간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치료시 복강경술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1992년 3월부터 1997년 3월까지 병력과 내진 및 초음파 소견에서 자궁내막증이 의심되어 수술받은 116례중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102례 가운데 심재성 자궁내막증 소견을 보인 30례 (복강경술 15례, 개복술 15례)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병력, 수술방법과 병기, Type에 따른 수술시간, 입원기간 등을 비교함으로써 자긍내막증 치료에 있어 복강경술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분류에 따른 수술시간은 TypeⅠ에서 복강경술시 148.5±21.2분, 개복술시 118.0±19.2분 소요되었으며, Type Ⅱ의 경우 각각 162.0±30.7분, 127.5±26.1분 소요되었고, Type Ⅲ에서는 각각 245.0±36.1분, 146.6±29.6분이 소요되어 병변의 Type이 진행될수록 수술시간이 길어졌으며 복강경술이 개복술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입원기간은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경우 복강경을 시행한 군은 5.7±1.8일, 개복술을 시행한 군은 10.0±2.3일로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복강경술시 개복술에 비해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조직 손상이 적으며, 장운동 회복이 빠르고, 수술후 동통이 적어 조기회복이 가능하여 술자의 복강경술 술기에 따라 적절히 환자를 선택한다면 복강경술은 심재성 자궁내막증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triosis, we have studied 30 cases of deep endometriosis. Endometriosis is classified into superficial(<1mm), intermediate(2-4mm), deep(>5mm) and very deep(>10mm) endometriosis by the infiltration depth from the peritoneal surface.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medical hormonal therapy is not effective, so surgical treatment is requi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urgiacal treatment ; hard lesion to excise, ditsorted pelvic anatomy after excision, easy to damage to ureter and uterine artery, and limitation for potentially morbid procedure to whom wants to conceive. Especially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depth by palpation. In deep endometriosis type II, the lesion is concealed due to rectal adhesion to cul de sac, uterosacral ligament and in type III, the lesion is regarded as a small lesion or missed due to invagination into pelvic floor. The authors compared the laparoscopic surgery with laparotom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aparoscopic surgery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triosis. Methods: Deep endometriosis, 30 cases out of 102 cases, which were histologically comfirmed as endometriosis were studied. The authors compared the laparoscopic surgery(15 cases) with laparotomy(15 case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for operation procedure, operation time, hospital stay and symptoms improvement.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of laparoscopic surgeries in deep endometriosis was 178.7(±43.1)min while type I, II and III in deep endometriosis took 148.5(±21.2)min, 162.0(±30.7)min and 245.0(±36.1)min respectively and took a little more time than laparotomy. Mean hospital stay in laparoscopic surgeries was 5.7(±1.8)days and laparotomy took 10.0(±2.3)days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f patients are chosen adequately and operator's skills are satisfactory, laparoscopic surgery is very valuable in the treatment of deep endometriosis. More data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e effica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