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SCOPUS
정상배란 여성에서 배란유도시 clomiphene citrate와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병합요법이 자궁경부점액과 자궁내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omiphene citrate &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on cervical mucus and endometrium in ovulation induction of normally ovulatory women
김연희(Y. H. Kim),이상훈(S. H. Lee),허민(M. Hur)
UCI I410-ECN-0102-2009-510-005375232

목적 : 정상적인 배란주기를 갖는 불임여성에게 과배란유도시 클로미펜과 인간폐경기 성선자극호르몬(hMG)의 자궁경부점액과 자궁내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1997년 7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불임을 주소로 방문한 환자중 정상적인 배란주기를 갖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클로미펜을 투여한 34명의 환자의 143주기와 클로미펜과 hMG의 병합요법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151주기를 실험군으로하고, 과배란유도를 하지않은 자연 배란주기의 여성 28명의 90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월경주기 13일째의 자궁경부점액수치와 배란일의 자궁내막의 두께를 비교하였다. 또한 배란후 임신율도 비교하였다. 결과 : 클로미펜과 hMG를 병합투여한 군의 자궁경부점액수치 7.4±1.2로서 클로미펜 단독투여군의 수치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에서의 12.4±1.6보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자궁내막의 두께는 클로미펜과 hMG 병합투여군에서 7.8±3.2mm로써 클로미펜 단독투여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의 14.2±8.5mm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배란후 임신율은 대조군이 두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본 연구결과로보아 클로미펜은 정상적 배란주기를 갖는 여성에서 자궁경부점액과 자궁내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더불어 임신율도 저하시키는 영향을 갖고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s : To assess the efficacy of clomiphene citrate(CC) and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hMG) use in normally ovulatory women Method : Of the 104 couples who visited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with complaints of infertility, 151 cycles of 42 women treated with CC with hMG were compared to 143 cycles of 34 women treated with CC and 90 cycles of 28 patients of expectant management. Cervical mucus scores on the 13th day of cycle and endometrial thickness on the day of ovulation were assessed and pregnancy rates were compared. Results : Cervical mucus scores of 7.4±1.2 in CC with h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s(12.4±1.6),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C 7.8±1.8. Endometrial thickness of controls(14.2±8.6mm) were thicker than that of CC groups and CC with hMG groups(8.2±2.3mm, 7.8±3.2mm respectively). Pregnancy rates per cycles and p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C with hMG group(9.9%, 35.7% respectively) and CC group(4.2%, 17.6% respectively) than those of controls(16.7%, 53.6% respectively). Conclusion : Our results indicate that CC adversely affects on cervical mucus and endometrium and lowers pregnancy rates in normally ovulatory women. Combined use of hMG cannot reverse these adverse effects of CC. Hence, empirical use of CC and CC with hMG in normally ovulatory women would be avoided and carefully reevalua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