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조직학적 융모막염은 조기양막파수의 경우 분만 후 태반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가장 자주 관찰되는 소견으로 신생아의 심각한 합병증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수내 백혈구 수의 증가와 조직학적 융모양막염과의 상관관계가 밀접한 것을 밝힌다면 이는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산전진단에 중요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인 조기 양막파수 산모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유무, 중증도와 양수내 백혈구 수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대상의 조건으로 1) 단태아 임신, 2) 양수 배양검사 및 양수내 백혈구 수의 측정을 위해 양수천자가 시행된 경우, 3) 양수천자 후 3일 이내에 분만한 경우, 4) 분만 후 태반의 조직학적 검사가 시행된 경우, 5) 태아 및 산모의 합병증에 의한 조기분만이 아닌 경우 등으로 하였다. 태반 조직 부위별 염증정도, 전체 태반염증의 정도에 따른 양수내 백혈구 수의 비교는 Wilcoxon test for censored data, 태반 조직 부위별 염증정도와 양수배양 양성 빈도의 비교는 Chi-square test for trend를 이용하였다. 결과 : 양막파수가 동반된 임산부 89명중에서 태반의 급성 염증성 병변이 관찰된 경우는 68.5%(61/89)이었고 양수배양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는 32.6%(29/89)이었다. 태반의 급성 염증성 병변이 있는 경우는 염증성 병변이 없는 경우에 비해서 양수내 백혈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양막, 융모탈락막, 제대, 융모판 모두에서 염증성 병변의 정도가 심할수록 양수배양검사 양성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양막, 융모탈락막, 제대, 융모판 모두에서 염증성 병변의 정도가 심할수록 양수내 백혈구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전체 태반염증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양수내 백혈구 수가 의미있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1). 결론 : 1) 양막, 융모탈락막, 제대, 융모판 모두에서 염증의 정도가 심한 경우, 2) 전체 태반염증의 정도가 높은 경우에서 양수내 백혈구 수가 높았으므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유무, 중증도와 양수내 백혈구 수와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Acute inflammatory lesions in the placenta is one of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lesions of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But there is a few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the association between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and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acute placental inflammation in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and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acute placental inflammatory lesions in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Methods: The relationship between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and placental histologic finding was examined in 89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the diagnosis of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and who delivered singleton gestation within 3 days.
Results: The prevalence of acut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was 68.5%(61/89) and that of positive amniotic fluid culture was 32.6%(29/89). The prevalence of positive amniotic fluid cultu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higher severity of inflammation in each type of placental section(p<0.05 for each). The median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higher severity of inflammation in each type of placental section(p<0.01 for each). The median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higher total grade of inflammation in placental histologic examination(p<0.01).
Conclusion: Both the presence and higher severity of acut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re associated with an elevated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The total grade of acut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is associated with an elevated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is a reliable prenatal marker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