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SCOPUS
폐경전후 여성에서 생화학적 골대사지표의 변화양상
Changes of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in Pre-, Peri-and Postmenopausal Women
양윤석(Yun Seok Yang),남기남(Gi Nam Nam),박준숙(Jun Sook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68806

연구목적 : 폐경에 의한 골대사지표의 변화 양상과, 폐경후 경과 10년 이상된 고령의 여성에서 골교체율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폐경전,후 여성 중 호르몬 대치용법을 받은 적이 없는 총189명의 여성에서 골대사지표와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변수간의 카이제곱 검정과, 상관분석 및 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 TALP, Dpd, OC, 혈중 인은 골밀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Dpd와 OC, TALP와 OC, TALP와Dpd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혈중 칼슘과 Dpd, 혈중 인과OC가 약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골다공증군은 정상골밀도군에 비해 골대사 표지물질 5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골감소증군은 정상골밀도군보다 OC, TALP, 혈중 칼슘과 인은 증가를 하였으나 Dpd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Dpd는 골다공증과 같은 현저한 골대사가 있을 경우에 증가함을 알 수가 있었다. 폐경전 여성군에 비해 폐경후 경과 1-5년군에서 TALP, OC, Dpd와 혈중 인은 유의하게 증가가 있고 폐경후 경과 10년 이상군에서 Dpd와 OC는 가장 높은값을 나타냈다. 혈중 칼슘은 각각의 군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일정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결론 : 폐경후 골대사 표지물질의 증가가 있었고 또한 폐경후10년 이상의 고령의 여성에서도 높은 골교체율을 보였는데(Dpd와 OC의 증가) 이는 혈중 칼슘의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골교체율을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하여 뼈의 칼슘을 빌려오게 됨으로써 골다공증이 생긴다고 볼 수가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of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in Pre-, Peri-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 The levels of Urinary deoxypyridinoline(Dpd),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TALP), osteocalcin(OC), serum calcium(Ca++) and phosphorus(P) were determined. Bone mineral density(BMD) were also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Result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BM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in osteopo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s. Biochemical marker of bone turnover except serum calcium increased after menopause and remains elevated in late postmenopausal and elderly women. An increased bone turnover rate to sustained serum calcium in constant level is related to a high rate of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o a decreased bone mass in elderly women. Conclusion: Bone turnover increased not only at the time of menopause but also in the elderly women. This subsequent abnormalities of bone resorption and formation in the elderly women suggest their potential role in osteoporosi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