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0
216.73.216.20
close menu
SCOPUS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평가
Assessment About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with Hormone Replacement Therapy
김주영(JY Kim),조장철(JC Cho),임승현(SH Lim),정소망(SM Jeong),류철희(CH Rhyu),김종덕(JD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72675

목적: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삶의 양적증가와 더불어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기여성에 있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많은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폐경기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도구의 하나인 WHQ를 이용하여 호르몬 대체요법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4월까지 폐경증상이나 골다공증을 주소로 내원한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은 여성과 받지않은 여성을 각각 20명씩 무작위 선정하여 내원 당시, 그 후 3개월과 6개월에 WHQ로 평가하였다. 결과: WHQ 각 항목별 시간에 따른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치료군에 있어서 성기능과 월경항목을 제외한 모든항목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고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호르몬 대체요법은 폐경증상의 개선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by focusing on aspects of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Methods: We conducted a study on patients with symptoms of menopause or osteoporosis for a three-month period in 1997, from January to April. We randomly selected a case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we conducted three WHQ surveys on these two groups at interval of three months. The first survey on their first visit, the second after 3 months and then the third after 6 months.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t-test, χ2-test end ANOVA. Results: Evaluating each item on WHQ surveyed at three different times, we observed that all the rest of the these items were improved in the case group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items of sexual function and menstruation. Conclusion: The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has considerably improved the symptoms of menopause. Therefore, we should promote liberally the use of the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and counsel women about the menopause and an indivisualized therap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