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불임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용적의 측정 및 난소 능력 평가의 예측인자로서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Ovarian Volume Measurement by Ultrasound in Infertile Patients and its Clinical Usefulness as a Predictor of Ovarian Reserve
김광수(KS Kim),김진홍(CH Kim),김대한(DH Kim),박철민(CM Park),이택후(TH Lee),조영래(YL Cho),전상식(SS Jeon)
UCI I410-ECN-0102-2009-510-005378268

본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에서 37명의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소용적을 측정하고 측정한 총 난소용적과 환자의 나이,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 기초 난포호르몬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41세였고 평균 연령은 30.27±4.79세였다. 월경주기 3일에서 5일 사이의 평균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 및 기초 난포호르몬치는 각각 7.79±2.54 mIU/ml, 47.58±30.38 pg/ml로 측정되었다. 대상 환자 중에서 초음파로 양측 난소 모두의 삼차원적인 크기 측정이 가능한 경우는 62%로써 그 외에는 어느 한 쪽의 난소만 측정이 가능하였다. 좌우측 난소의 평균값은 각각 7.99±3.63 cm3 및 7.48±4.63 cm3, 전체 난소의 평균값은 7.77±4.07 cm3였으며 총 난소용적(좌우측 난소의 합)의 평균값은 14.88±7.05 cm3로 측정되었다. 좌우측 난소용적을 비교한 결과, 양측 난소용적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양측 난소용적 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난소용적과 환자 나이와의 관련성 에서는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이에 대한 난소용적의 뚜렷한 변화는 없었고 통계적 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난소용적과 기 초 난포자극호르몬치 및 기초 난포호르몬치와의 관련성 에서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와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초 난포호르몬치와는 뚜렷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가임기의 국내 여성-적어도 불임환자들의 경우 외국 여성에 비하여 각각의 난소용 적 및 총 난소용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고 총 난소용적과 기초 난포호르몬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보아 궁극적으로 난포의 발달 숫자와 임 신율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많은 지표들 중에서 어느 것도 난소 기능(반응) 평 가나 보조생식술의 결과(임신)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으나 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용적 측정이 난소기능 평 가 및 보조생식술 결과 예측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한국인의 평균 난소용적을 국내 최초 로 보고하는 바이다.

A number of parameters such as a women`s age, basal FSH and E2 value have been identified as predictors of success with assi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primarily by predicting ovarian responsiveness to ovulation induction but there are very few non-inavsive unstimulated outcome predictors available to patients before starting on ART cycle.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ovarian volume in infertile women with ultrasound on cycle day 3∼5, to compare ovarian volume with patients` age, basal FSH, E2 level an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ovarian volume as a predictor of ovarian reserve. Total thirty seven infertile women met the following study entrance criteria: (1) both ovaries were present and contained no ovarian cysts ≥10 mm or greater in diameter, (2) no history of endometrioma, dermoid or PCO, (3) no recent use of infertility drugs and (4) no history of ovarian surgery. On cycle day 3∼5, the length, height, and width of each ovaries were determined by transabdominal ultrasound in the parasagittal and transverse planes. All patients had blood samples for measure of basal FSH and E2 drawn at the same day. The basal serum FSH and E2 value (mean±SD) were 7.79±2.54 IU/L and 47.58±30.48 pg/ml. The mean volume of right ovary, left ovary and total ovaries was 7.99±3.63 cm3, 7.48±4.63 cm3 and 7.7±4.07 cm3 respectively and the mean total ovarian volume (sum of right and left ovaries) was 14.88±7.05 cm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ume were noted between right and left ova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ovarian volume and age was somewhat correlated (r=0.37)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age in this study group.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otal ovarian volume and basal FSH level (r=-0.03) bu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ovarian volume and basal E2 level (r=0.58).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