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폐경 연령은 만 48.3±4.1세였다. 2. 갱년기 증상 빈도는 Ⅰ군에서는 열성 홍조, 요통, 관절통 순, Ⅱ군에서는 요통, 관절통, 열성 홍조, 빈뇨 순, Ⅲ군에서는 요통, 빈뇨, 관절통, 열성 홍조 순이었으며, Ⅳ군에서는 요통, 관절통, 빈뇨, 불면증, 열성 홍조 순으 로 나타났다.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 환자의 증상 빈도 순 으로 보면 요통, 관절통, 열성 홍조, 빈뇨 등의 순서로 증 상이 나타났다. 3. 골밀도 측정의 결과는 요추 전후, 요추 측면, 대퇴 경부, 대퇴 Ward`s 삼각의 골밀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4.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는 혈청 오스테오칼신치와 요중 디옥시피리디놀린 배설량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일관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 었지만, 혈청 총 알칼라인포스파타제치는 연령이 증가함 에 따라 오히려 계속 증가되어, 폐경이 경과된 후에도 여 전히 골교체율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5. 혈청 지질의 변화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 만, 혈청 총콜레스테롤치,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와 중성지방치는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었 으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 라 감소하였다. 6. 혈청 총 칼슘치와 혈청 요산치는 연령에 따른 변화 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당히 많은 폐경기 전후 여성이 폐경 기 증상으로 고통받고 골밀도가 감소하므로 호르몬 대 치요법을 적절한 시기에 시작한다면 갱년기의 불편한 증상을 줄이게 되고, 골밀도 및 혈청 지질 변화를 호전시 켜 폐경기 이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We hav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imenopausal women in Korea, by the age of menopause, climacteric symptoms,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markers and lipid profiles. Methods: There is 233 perimenopausal women who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Group Ⅳ) by age. The age distributions of Group Ⅰare below 50 years old. Those of Group Ⅱ, Ⅲ, Ⅳ are 51∼55 years old, 56∼60 years old and above 61 years old. We asked them for their climacteric symptoms and we checked them for the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markers and lipid profiles. Results : 1) The mean age of menopause is 48.3±4.1 years old. 2) The common symptoms of the Korean perimenopausal women were backache, arthralgia, hot flashing and urinary frequency in order of frequency. 3) The bone mineral densities of climacteric wo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ing age. 4)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mong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as significantly increasing state by increasing age. 5)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increasing tendency, but HDL-cholesterol was decreasing tendency by increasing age. 6) There are no variation by increasing age in the serum total calcium and serum uric acid. Conclusions: Increasing age had a great effect on bone mineral loss and lipid profiles in the climacteric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