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자궁탈출증을 제외한 질식전자궁적출술 115 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115 Cases of Total Vaginal Hysterectomy Except for Uterine Prolapse
윤대식(DS Yoon),이선경(SK Lee)
UCI I410-ECN-0102-2009-510-005388226

1993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만 3년 2개월간 경희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경도 혹은 중등도의 자궁탈이 동반되어 질식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를 제외한 115예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연령은 27세에서 65세까지 분포되어 있다. 2. 임신 경험이 없었던 경우가 2예 있었으며, 질식 분만의 경험이 없었던 경우도 5예 있었다. 3. 자궁이 적출되고 수술이 마칠 때까지의 평균시간은 80.43±21.8 1분(40∼160)이 걸렸다. 4. 수술 전후 헤모글로빈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p=0.001). 5. 수술 전 가장 많은 적응증은 자궁근종(47%), 그 다음은 상피내종양(42.6%), 자궁선근종(8.7%), 기 능성 자궁출혈(1.7%) 순이었다. 6. 수술 후 가장 많은 조직학적 소견은 자궁근종 (37.3%), 다음으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28.7%)순이었다. 7. 적출된 자궁의 평균 무게는 159.74±81.5 gm (45∼450 gm)이었다. 8. 평균 수술 후 입원 일수는 5.7일이었다. 9. 기왕 복강내 수술 경력이 54예의 환자에서 있었다. 10. 수술 후 합병증은 단지 4예(3.5%)에서만 관찰 되었다. 11. 평균 출혈량은 151.57±59.91 ml였다. 결론적으로 합병증이나 이환율이 적은 질식수술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자궁 적출술에 있어서 복강경 사용은 장점에 비하여 위험 도 및 경제적 부담이 높으므로 복강경 사용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sis 115 women who underwent total vaginal hysterectom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993 to December 1996.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eak incidence of age distribution was in 36 to 45 years old age group and 53.9% of patients was belonged to that age range. 2. The most common parity was para 2. 3. 51 patients of operated women had previous abdominal operation. 4. Uterine myoma was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vaginal hysterectomy and followed by carcinoma in situ. 5.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 was uterine myoma and followed by carcinoma in situ and adenomyosis. 6. The average time of vaginal hysterectomy operation was 80.43±21.81 min. 7. The mean blood loss was 151.57±59.91 ml. 8. The average weight of uterus was 159.74±81.15 gm (36∼438 gm). 9. The mean hospital days were 5.5 days (4∼7).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