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9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 입원한 환자 중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제3도로 진단 받은 15예와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은 14예를 실험군으로 하고, 다른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양성 부인과 질환 8예를 정상 대조군으로 하여, 이들의 자궁경부 조직을 얻은 후 Factor VIII 염색을 시행한 뒤, 각 군별로 직경 60 μm 이하의 미세혈관수를 측정하고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실험군의 신생혈관수를 볼 때, 정상 대조군 이 17.9±8.6,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군이 40.7±17.0, 침윤성 자궁경부암군이 70.6±20.4로 나타나 자궁경 부 상피내종양군, 침윤성 자궁경부암군은 각각 정상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또한 침윤성 자궁경부암군은 자궁경 부상피내 종양군과 비교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5). 2.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임파혈관으로의 전이가 있는 8예와 없는 6예를 대상으로 신생혈관수를 비교 해 보았을 때, 각각 80.3±20.2, 57.8±3.1로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신생혈관수와 암세포의 기저막하 침윤 깊이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4. 종괴의 크기는 신생혈관의 수와 상관관계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고, 병기, 임파절로의 전이 여부는 경우의 수가 작아 통계학적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자궁경부의 상피세포 암에서 신생혈관의 수가 증가되었다면 고위험군으로 간주함이 타당하며, 또한 임파혈관으로의 침윤이 관 찰되지 않고, 다른 잘 알려진 고위험인자가 없더라 도 신생혈관의 수가 많을 때는 고위험군으로 간주하 는 것이 환자의 적절한 치료에 있어 합당하리라 사료된다.
Introduction: Tumor Angiogenesis is an induction of new vessels, and the association with tumor growth has been reported by various investigators . The new vessels formed by angiogenesis provide the nutrients for tumor growth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umor metastasis by offering the chance for tumor cells to enter the systemic circulation. Objective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angiogenesis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disease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umor angiogenesi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Materials and methods: The specimen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September, 1994 to December, 1995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Microvessel count of control (8 cases), CIN III (15 cases), invasive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14 cases) was investigated using factor VIII stain. Results: Microvessel counts were 17.9±8.6 in control, 40.7±17.0 in CIN III, 70.6±20.4 in invasive carcinoma, respectively. Microvessel counts of CIN III and invasive carcinoma were stat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p<0.05). And the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well known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ncer such as depth of invasion and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Conclusion: Tumor angiogenesis seems to be related with prognostic significance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Definite conclusion may not be drawn from these results because of small number of cases, and further large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about correlation between tumor angiogenesis and long term pro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