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높은 위음성률로 인하여 사회적, 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자궁경부암 선별검진 체계의 시도를 위해 1995년 12월 1일부터 1996년 11월 30일까지 1년 간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을 위하여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산부인과 부인암 클리닉을 내원한 261명을 대상으로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HPV DNA 검사, 자궁경부확대촬영술 3가지 검사를 시행, 분석, 비교하였다. 1. 민감도: 단일 검사에 있어서는 자궁경부확대촬영술이 94.3%로 가장 높았고, 이중병합검진에서는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법과 자궁경부확대촬영술을 병합한 방법이 98.1%로 더 높았으며, 삼중병합검진은 100%로 가장 높았다[Table 8]. 2. 특이도: 단일 검사에서는 자궁경부 세포진검사가 93.5%로 가장 높았고, 이중병합검진에서는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와 HPV DNA 검사를 병합한 방법이 86.6%로 자궁경부확대촬영술과 병합한 방법보다 높았으며, 삼중병합검진은 82.2%로 가장 낮아 결과적으로 자궁경부 세포진검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8]. 3. 양성 예측도: 단일 검사에서는 자궁경부 세포 진검사가 77.8%로 가장 높았고, 이중병합검진에서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와 HPV DNA 검사를 병합한 검사가 65.8%로 약간 높았으며, 삼중병합검진은 62.8%로 가장 낮아 자궁경부 세포진검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8]. 본 연구를 통해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HPV DNA 검사 그리고 자궁경부확대촬영술의 삼중병합검진법은 민감도 100%, 즉 위음성률 0%를 보여 자궁경부 세포진 단일검사법이 가지고 있던 높은 위음성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의 전통적 방법인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와 최근 개발된 자궁경부확대촬영술은 형태학적인 검사인 반면, HPV DVA 검사는 자궁경부 병변의 예후 판단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생물학적인 검사이어서 이들을 병합한 삼중병합검진의 임상적 가치는 그 의의가 한층 크다고 하겠다. 높은 위음성률을 가진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는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높으면서 조기 진단 검진율이 저조한 국내 여건에서 좀더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궁경부암 선별검진 체계의 재정립에 대한 논의와 함께 좀더 민감한 검진법의 개발은 이제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삼중병합검진은 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집단 검진을 이용한 임상적 재평가와 비용의 효과[cost-effectiveness]나 검진 기간의 간격 등에 대한 연구가 향후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나, 민감도의 획기적인 개선에 따른 위음성률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추후 새로운 자궁경부 선별 검진법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ervical cytology[Pap smear], HPV DNA test, cervicography, first double combined test of cervical cytology and HPV DNA test, second double combined test of cervical cytology and cervicography and triple combined test of cervical cytology, HPV DNA test and cervicography. Study design; This study included 261 patients who visited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Dec. 1, 1995 to Nov. 30, 1996. All women simultaneously underwent cervical cytology, HPV DNA test and cervicography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colposcopically directed biopsy for diagnostic evaluation. Results; The triple combined test[cervical cytology + cervicography + HPV DNA test; 100%] was most sensitive among the cervical screening tests[100%]. Second double combined test[cervical cytology + cervicography; 98.1%] was more sensitive than first double combined test[cervical cytology + HPV DNA test; 92.3%]. But cervical cytology was most specific[93.5%] and showed the highest positive predictive value[77.8%]. Conclusions; The sensitivity of cervical cytology was markedly improved by combination with HPV DNA test and cervicography. So the triple combined test which improve high false negativity of cervical cytology may be a new effective tool as a cervical cancer screening test, if the effectiveness is confirmed by mass screening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