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들은 1997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강남성모병원을 비롯한 4개 부속병원의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산전관리를 받은 임신 7주에서 임신 34주까지의 RhD 음성인 임산부 13예의 말초혈액으로부터 DNA를 얻은 후, heminested PCR을 이용하여 RhD 유무를 밝힘으로써 태아의 RhD 상태를 산전진단하여 향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hD 양성인 정상성인의 말초혈액에서 얻은 DNA는 일차증폭에서는 106배 희석[1 pg/㎖]까지 291 bp에서 RhD 양성 띠가 관찰되었으며, 이차증폭에서 는 1011배 희석[1 fg/㎖]까지 262 bp에서 RhD 양성 띠가 관찰되었다. 2. RhD 음성인 정상성인의 말초혈액에서 얻은 DNA는 일차 및 이차증폭 모두에서 RhD 양성 띠가 발견되지 않았다. 3. 임산부의 말초혈액에서 얻은 DNA에 대해서 30 회의 일차증폭을 한 결과, 13예 중에서 1예[7.7%]에 서 RhD 양성 띠를 발견하였다. 4. 일차증폭에서 얻은 DNA에 대해서 각각 10, 15, 20회 및 25회씩 이차증폭을 한 결과, 10회의 이차증 폭에서는 13예 중에서 2예[15.4%]에서 RhD 양성 띠 를 발견하였고 15회 및 20회의 이차증폭에서는 13예 중에서 12예[92.3%]에서 RhD 양성 띠를 발견하였다. 또한 25회의 이차증폭에서는 모든 예[100%]에서 RhD 양성 띠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모체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DNA에 대한 heminested PCR은 RhD 양성 태아를 가 진 RhD 음성 임산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태아의 용 혈성질환을 조기에 예측하는 데 유용한 비침습적인 진단 방법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진단 방법은 태아 에 유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전질환을 산전진단 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저자들은 PCR에서의 문제점으로 거론되고 있는 오 염의 방지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또한 각 임신 시기에 따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임신 초기에도 이용될 수 있는 지와 감작된 RhD 음성 임산 부에 대해서도 이용이 가능한 지에 대해서 연구할 예정이다.
Objective: To determine usefulness as a method that allow prenatal diagnosis of fetal RhD statu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rom maternal peripheral blood. Study design: Thirteen maternal peripheral blood samples obtained at 7∼34 weeks` gestation were tested for fetal RhD status using heminested PCR with primers specific for the genes cording for RhD and RhCc/Ee. After first amplification of 30 cycles with primers RD-A3/RD-A2 [291bp in size], second amplification of various cycles was performed using primers RD-A5/RD-A2 [262bp in size]. Paternal and fetal RhD status was confirmed by serologic and/or PCR methods. Results: All fathers and fetuses were typed RhD positive. After first amplification of 30 cylces, fetal RhD status could be determined in one of 13 cases. Fetal RhD status could be determined in 2, 12, 12 and 13 of 13 cases in each after second amplification of 10, 15, 20 and 25 cycles. Conclusion: This study was suggested that a noninvasive method for prenatal diagnosis of the fetal RhD status using heminested PCR offers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Rh-negative pregnant women. Furthermore,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other genetic disorders and is expected to become the preferred method of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in DNA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