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술전 빈혈이 동반되지 않았던 환자군(I)과 빈혈이 동반되었던 환자군(Ⅱ, Ⅲ) 사이의 평균연령, 산과력, 월경과다 기간, 수술중 실혈량, 표본의 무게, 수술후 혈액학적 변화 등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수술전 평균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 수치는 수 혈을 필요로 했던 빈혈환자군에서 가장 낮았으며(7. 5mg%/23.9%) 경구 피임약과 철분제로 교정했던 환자군과는(7.9gm%/23.7%)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 며 수술중 실혈량은 수혈후 수술하였던 환자군에서 630ml로 경구피임약과 철분제로 교정하였던 환자군 의 269.6m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경구 피임약과 철분제로 빈혈을 교정한 환자군 에서 평균 치료기간은 2.1개월(3주∼3개월) 이었고 수혈했던 환자군에서 적혈구 농축 혈액의 수혈량은 평균 2.6 packs(1∼6 packs)이었으며 수술전 교정한 혈액학적 결과는 경구피임약과 철분제로 교정한 환 자군에서는 평균 10.4gm%/32%이었고 수혈했던 환 자군에서는 9.3gm%/28.6%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p>0.05).
본 저자들은 자궁근종의 비정상적인 자궁출혈과 이에 동반되는 빈혈을 교정하고자 경구 피임약과 철 분제 복용으로 빈혈을 교정했던 환자군과 수술전 수 혈을 실시했던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경구피임약에 의하여 기존의 자궁근종의 크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철분제의 사용과 함께 수혈시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경비가 적게들고 수혈없이 수술시간까지 빈혈을 교정하고 수술하였던 임상경험 의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Oral contraceptive user had less menstrual blood loss, which reduced the risk of iron dei- ficiency anemia by 50%. The incidence of menorrhagia, irregular menses and intermenstrual bleeding is also singificantly reduced in the user of oral contraceptives. In most women with leiomyomas, low-dose oral contraceptive use provide the noncontraceptive benefit of a reducti-on of menstrual flow, with resultant improvement in hematocrit. So, we confirmed that anemic leiomyoma patients with oral contraceptive use showed autotransfusion effects given by preo-perative administration orally during som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