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후 치료받았던 환자들 중 진단시 자궁경부암과 다른 원발성 악성종양을 가진 중복암과 진단 전후로 다른 원발성 악성종양이 발생된 이차암군인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경부암과 동반된 다발성 원발 악성종양은 전체 20예였고, 이들의 중앙연령은 51세였 으며 syn- chronous 유형의 경우는 이들 중 8예 이었고, 12예가 metachronous 유형이었다. 2. 다발성 원발 악성종양 환자에서 발생한 자궁경부암의 FIGO 임상병기는 1기가 6예, 2기가 9예, 3기가 5예 였으며 20예 모두에서 병리조직학 분류상 침윤성 편평세포암이었다. 3. 자궁경부암과 동반된 다발성 원발 악성종양의 호발 부위는 자궁으로 20예 중 8예에서 발 생하였는데 1예에서 자궁내막 기질육종이 발생하였고, 1예에서 자궁내막 선암이 발생하였다. 과거 방사선조사의 기왕력이 있었던 6예에서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이 방사선치료와 강력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 Synchronous 유형의 경우는 모두 8예로 이들 중 4예에서 치료 전 검사기간 동안에 진단 되었고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병리조직 검사상 진단된 것이 3예로 대부분 조기에 진단된 경우였다. 이들 중 7예의 환자는 현재 무병생존 중이며 환자의 외래 추적검사 기간은 24개 월에서 9년 4개월(중앙값, 27개월)이었다. 5. Metachronous 유형의 경우는 모두 외래 추적검사 기간 중 진단되었으며 자궁경부암 진 단 후 1년에서 18년(중앙값 ; 9년 4개월) 후에 이차암이 진단되었다. 이들 이차암은 synchronous 유형보다 다소 진행된 병기에서 진단되었으며 이들 12예 중 유방암의 경우만 무병상태로 생존해있으며 나머지 11예는 이차암으로 인해 사망하였고 생존기간은 3년 9개 월에 19년 3개월(중앙값 ; 9년 6개월) 이었다. 6. Metachronous 유형 중 방광암 1예, 직장암 1예가 이차암으로 발생하였는데 이는 이전 자 궁경부암의 방사선 조사부위 내에 발생한 경우로 방사선치료와의 관련성을 예시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다발성 원발 악성종양에 대한 정기적 검진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으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는 방사선조사 부위내의 이차 암 발생에 대한 가능성은 항상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Knowledge about the degree of risk and location of multiple primary cancers can facilitate the targeting of screening and surveillance practices on follow-up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Purpose :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primary malignancies in patients treated for cervical carcinoma. Method : From data base file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between 1976 and 1995, total 20 patients were found to have cervical cancer and another primary malignancy. Their medical records and pathologic slides were reviewed. Follow-up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or by telephone. Result : There were 8 synchronous and 12 metachronous multiple primary cancers (MPC) among 20 patients. Their mean age was 51 years (range 23 ∼ 68 years). The distribution of FIGO stage of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as classified into stage I, 6 patients; stage II, 9 ; and stage III, 5. All patients showed squamous cell type histology of cervical cancer. Eight(40 %) of 20 patients developed second cancer in uterus : 6 malignant mixed Mllerian tumors(MMMT), one endometrial stromal sarcoma, and one endometrial adenocarcinoma. Seven of 8 synchronous type MPC patients are alive (median follow-up, 27 months). In contrast, only one out of 12 metachronous type MPC patients is alive(median follow-up, 114 months). The occurrence of eight malignancies including 6 MMMT, one bladder cancer, and one rectal cancer might be related with previous radiation therapy for cervical canc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utine screening and surveillance work-up might not be necessary in most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However,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undergoing radiation treatment have to be followed carefully with the consideration of possibility for developing second cancer in the field of irra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