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쌍태아에서 정상아와 동반된 무뇌아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무뇌아의 발생원인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문헌 에 보고된 여러가지 여건발생 요인과 결부시켜보면, 도시에서 생활한 점, 초산부인 점을 제외하고는 관 련요인을 발견할 수 없었다. 2. 여아에서 무뇌아 발생이 더 많다는 문헌상의 보고와 같이 본 경우에서도 두명의 쌍태아 모두 여 아였다. 3. 산과적 합병증인 현저한 양수과다증 및 이상태 위는 없었다. 4. 산전 triple test상 alpha-fetoprotein의 현저한 증가가 있었으며 양수검사와 초음파로 무뇌아를 동 반한 쌍태아를 확인하고, 지속적인 산전검사로 임신 35주 5일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정상여아와 무뇌 여아를 분만하였다. 5. 무뇌아는 자궁내 사망상태였으며, 무두개증, 뇌 실질결손을 볼 수 있었으나 육안적인 다른 기형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환자, 보호자의 동의가 없어서 부검은 실시하지 못했다.
A case of anencephaly associatied with twin pregnancy that delivered by primary lo-wer flap transverse cesarean section at 35-weeks of gestation is presente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