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정상 및 비정상 초기임신을 대상으로한 도플러검사에 의한 자궁-태반 순환계의 혈류상태에 관한 연구
Transvaginal Color Doppler Imaging in the Assessment of Utero-placental Blood Flow in Normal and Abnormal Early Pregnany
박영자(YJ Park),강경일(KI Kang),박금자(KZ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86686

1996년 1월부터 1996년 8월까지 박금자 산부인과를 내원한 임산부중 임신 5주에서 15주사 이의 정상산모 68명을 정상군으로 하였고, 무배아란으로 진단된 30명, 계류유산으로 진단된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칼라 도플러 검사를 시행하여 좌우측 자 궁동맥과 영양배엽하 혈류의 수축기 대 이완기 비율(S/D ratio)과 저항계수(RI)를 측정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산모에서 영양배엽하 혈류를 발견 할 수 있던 경우는 임신 5주에서 10%, 임신 6, 7주 에서 70%, 임신 8주에서 89%, 임신 9주이후에는 100%로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혈류 발 견율이 높았다. 2. 영양배엽하 혈류를 확인할 수 있던 경우는 임신주수에 따라 차이가 나기는 했으나 정상임 신에서는 60.3%, 계류유산에서는 47.2%, 무배아란임신에서는 53.3%로 비정상임신의 경우 무 배란에서 계류유산에 비해 혈류발견율이 높았다. 3. 정상임신과 계류유산, 무배아란의 세군 모두에서 자궁동맥의 좌측과 우측의 수축기 대 이 완기 비율(S/D ratio)와 저항계수(RI)는 같은 임신주수에서 차이가 없었다. 4. 정상임신과 계류유산, 무배아란의 세군 모두에서 자궁동맥의 수축기 대 이완기 비율(S/D ratio)와 저항계수 (RI)는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정상임신과 계류유산, 무배아란임신 세군에서 자궁동맥 수축기 대 이완기 비율(S/D ratio)과 저항계수(RI)는 같은 임신주수에서 차이가 없었다. 6. 정상임신과 계류유산, 무배아란임신 세군에서 영양배엽하 혈류가 확인되었던 경우의 S/D ratio, RI를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궁동맥의 혈류는 좌우측이 동일하며, 임신초기부터 혈류저항감소를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칼라 도플러검사를 시행하면서 정상임신과 비정상임신 초기에 영양배엽하 혈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임신초기의 자궁-태반 순환계의 기능성을 평가 할 수 있게 되었으나, 정상임신과 계류유산 및 무배아란임신에 있어서 자궁동맥과 영양배엽 하 혈류의 수축기 대 이완기 비율(S/D ratio)이나 저항계수(RI) 값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결과를 보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 루어 진다면 초기임신 실패의 병태생리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low velocimetry waveforms of the uterine artery and subtrophoblastic blood flow were analyzed at normal early pregnancy, missed abortion and blighted ovum, by using transvaginal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Results show that a progressive fall in S/D ratio and RI with advancing in gestation. Among the three groups, the S/D ratio and RI of both uterine arteries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estational age. Characteristic subtrophoblastic blood flows were obtained in 60.3%, 47.2% and 53.3% of normal pregnancy, missed abortion and blighted ovum, respectively. The S/D ratio and RI of subtrophoblastic blood flow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Although the number of cases studied is small and not prospective study, the further study about this will give us some understanding to the pathophysiology of early pregnancy fail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