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2
18.97.14.82
close menu
SCOPUS
초기임신에서 혈중 β-hCG , Progesterone , 17α-hydroxyprogesterone의 농도와 황체 크기의 임신주수에 따른 변화양상
Correlation of Corpus Luteum Size , β-hCG , Progesterone , and 17α-hydroxyprogesterone in Early Pregnancy
노재숙(JS Roh),강지연(JY Kang),정은환(EH Jeong),안치석(CS Ahn),김학순(HS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86631

1996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초음파검사로 정상 자궁강내 임신임이 확인되었던 임신 4~9주 산모 3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당일 질식초음파(5 MHz, Aloka SSD 650)로 황체의 크기(mm)를 측정하고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B-hCG, progesterone과 17-OH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20주이후까지 합병증이 없었던 21예를 정상임신군으로, 검사시 질출혈과 하복통이 있었거나, 검사 후 2주이내에 자연유산이 된 15예를 비정상임신군으로 간주하여 임신주수에 따른 황체의 크기와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황체의 크기와 혈중 17-OHP의 농도는 양군 모두에서 임신주수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나, 혈중 B-hCG와 progesterone의 농도는 정상임신의 경우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정상임신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양군 모두에서 황체의 크기와 각각의 호르몬농도와의 연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결론적으로 황체의 기능은 황체 크기와는 관련이 없으며 임신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요한 것은 B-hCG나 progesterone의 특정농도가 아니라 B-hCG의 자극에 대한 적절한 황체의 반응이라 생각된다. 향후 대상군의 추가 모집으로 각 주수별 B-hCG와 progesterone 비의 정상값을 구할 수 있다면 황체기능의 객관적인 평가와 임신의 예후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regnancy maintenance is dependent on the presence of a functional corpus luteum (CL) for a few weeks after implantation. However,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rescue of the CL during early pregnancy have not been fully clarified.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whether the change in size of the CL of early pregnancy, serum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17α-hydroxyprogesterone, or β-hCG correlated with the gestational age or were predictive of pregnancy outcome.We retrospectively analysed thirty-six women between 4~9 weeks` gestation. All women underwent transvaginal ultrasound measurement of the CL size and gestational sac(or crown-rump length). Blood was drawn from each patient on the day of the ultrasound examination to measure hormone concentration. Fifteen women experienced vaginal bleed ing and abdominal pain. Among them, four women were aborted.There was n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 size and serum progesterone, 17α-hydroxyprogesterone or β-hCG both in normal and abnormal pregnancy.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gestational age and progesterone or β-hCG in normal pregnancy, but not in abnormal pregnancy(threatened or spontanous abortion).In conclusion,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gestational age and serum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or β-hCG may reflect the normal function of CL. Therefore, abnormal response of CL or abnormal production of β-hCG cause a disturbance in progesterone secretion leading to the abnormal pregnan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