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4
18.97.9.174
close menu
SCOPUS
심장질환이 합병된 임신
Heart Desease during Pregnancy
최욱환(OH Choi)
UCI I410-ECN-0102-2009-510-005369767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 임신을 하게되면 심장질환의 증상이 악화되고 임신여성의 사망을 초래할 위험성이 증대되어질 뿐만아니라 태아 혹은 신생아에서도 주산기이환율과 사망율이 증가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심장질환은 임신여성의 약1%에서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고, 심장질환이 임신에 합병된 경우 임신 여성의 사망율은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의 분류에 의한 class I, II의 경우 0.4%에서 class III, IV의 경우는 6.8%까지 증가된다고 알려져있다(Goodwin et al., 1994; Cunningham et al., 1993) 전세계적으로 성인에서의 심장질환은 류마티스열에 의한 심장질환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Padmavati, 1978; Mcfaul et al., 1988), 최근 선진국에서는 류마티스열의 발생이 줄어 들고 이에 의한 심장질환의 발생도 줄어 들어 상대적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의 빈도가 류마티스열에 의한 심장질환의 빈도를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Bitsch et al., 1989; Pitkin et al., 1990; Oakley, 1989). 저자가 부산지역의 4개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전체 32,312명의 임신여성 에서 심장질환이 합병된 경우는 167명으로 0.5%의 빈도를 보였고, 이 중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경우는 27명으로 심장질환이 합병된 임신여성 중에서 약 16.1%의 빈도를 보였다(Table 1). 여러 보고에 의하면 성천성 심장질환의 빈도는 전 출생아의 약 0.8%를 차지한다고 한다 (Neilson et al., 1971; Dawkins et al., 1986; Whittemore et al., 1991). 그러나 최근 들어 심장질환에 대한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의 향상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신생아의 생존률이 높아짐으로써 이들이 가임기에 이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되었으나, 원인에 관계없이 임신중 심장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임신여성 및 태아의 건강에 여러가지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때문에 심장질환이 동반된 임신여성에 대한 산과적 처치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임신에 합병된 심장질환의 주요한 특성과 대책에 관하여 숙지함으로써 모성사망율과 주산기사망율 및 이환율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리라 판단된다. 정상임신에서도 비임신시와 비교하여 혈류역학적인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변화는 특히 심장질환이 합병된 경우에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심장질환과 합병된 임신은 기존 심장질환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모성사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태아에 있어서도 자연유산, 조산, 저체중아와 같은 합병증을 초래하여 주산기사망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산과의 는 심장질환과 합병된 임신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숙지함으로써 전형적인 임상소견을 이해하고 임상진단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심장질환과 합병된 임신에 따른 위험요소를 잘 파악하고 치료에 임한다면, 모성사망 및 주산기사망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나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전향적 조사가 시행된다면 심장질환과 합병된 임신을 관리하는 데 유익한 지침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