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고혈압은 정상혈압의 소견을 보이는 임산부에 비해서 산모나 태아사망율 및 유병율이 높은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Chesley, 1978), 과거 10년간 병태생리의 이해, 초기발견, 진단, 예방, 처치 등에서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모든 임신시 고혈압은 약 5~8%로 보고하고 있으며(Chesley, 1978; Zuopan, 1991; Cuningham, 1988), 이 빈도는 병원, 나라등 보고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변 등(1993)은 82개 병원, 10년간 발생빈도를 종합하여 국내에 있어서의 임신성 고혈압증을 조사한 결과 빈도는 5.4%라고 보고하였다. 임신성 고혈압증은 임신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고혈압으로 3가지 흔한 형태는 자간전증, 급성 임신성고혈압(acut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그리고 만성 본태성고혈압이며 이 중에 자간전증과 본태성고혈암이 3/4을 차지하고 있다. 임신성고혈압은 산모나 태아에게 임상적으로 별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경우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한 상황까지 그 예후는 폭 넓게 다양하다(Woellen, 1953). 본 연제에서는 임신성고혈압 분류 및 자간전증의 병인, 진단예측, 예방, 처치 등과 만성고혈압의 고위험군 처치 등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