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SCOPUS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자궁경부암에서 c-erbB-2와 p53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c-erbB-2 and p53 Oncogene in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nd Uterine Cervical Carcinoma
임세혁(SH Im),최호선(HS Choi)
UCI I410-ECN-0102-2009-510-005387547

1994년 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콜포스코피클리닉을 방문한 환자 중 자궁경부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자 638명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에 의해 종양유전자 c-erbB-2d와 종양 억제유전자p53의 발현을 분석하였고, 각각의 예후 인자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윤성 자궁경부암환자군에서는 53.6%의 c-erbB-2의 발현율과 51.4%의 p53의 발현율을 보였는데 대조군의 17.7%의 c-erbB-2의 발현율과 9.7%의 p53의 발현율에 비해 의의있게 증가함을 보였다(p<0.01). c-erbB-2와 p53의 동시 발현율도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31.1%로 대조군의 5.9%에 비해 의의있게 증가함을 보였다(p<0.01). 2.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환자군과 침윤성 자궁경부암환자군과의 비교에서도 c-erbB-2의 발현율(20.2%, 53.6%) 및 p53의 발현율 (28.9%, 51.4%), c-erbB-2와 p53의 동시 발현율(6.8%, 31.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환자군 내에서도 CIN I군과 CIN II보다 CIN III에서 의의있게 증가함을 보였다(p<0.01). 3.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연령과 c-erbB-2 및 p53의 발현율과의 관계를 보면 c-erbB-2는 40세이하군: 56.6%, 41~50세 군: 51.9%, 51~60세 군: 51.8%, 61세이상군: 56.5%, p53의 발현율은 40세이하군: 50%, 41~50세군:48.2%, 51~60세군: 60%, 61세이상군: 45.8%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4.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임상병기에 따른 발현율을 보면 c-erbB-2는 Ia: 47.5%, Ib: 58.7%, IIa: 51.5%, IIb: 56.3%, III, IV: 38.3%, p53은 Ia: 39.5%, Ib: 52.6%, IIa: 61.8%, IIb: 50%, III: 40%, IV: 58.3%로 임상병기에 따른 c-erbB-2 및 p53의 발현율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p>0.05). 5.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 216명의 조직학적 세포형태에 따른 c-erbB-2 및 p53의 발현율을 비교하여 보면 c-erbB-2의 발현율은 편평상피 세포암: 54.4%, 선암: 55.6%, 편평상피 선암: 6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p53의 발현율은 편평상피 세포암: 53.5%, 선암: 22.2%, 편평상피선암: 20%로 편평상피 세포암에서 의의있게 증가함을 보였다(p<0.05). 6.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 216명중 76명에서 광범위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여 임파절 전이를 결정하였다. 임파절 전이에 따른 c-erbB-2의 발현율은 전이군에서는 58.3%, 비전이군에서는 57.7%를 나타냈으며, p53의 발현율은 전이군은 54.2%, 비전이군은 51.9%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p53 및 c-erbB-2의 발현율이 의의있게 증가하였으나 p53이 편평상피 세포암에서 의의있게 증가함을 제외하고는 여러 예후인자들과 c-erbB-2 및 p53의 발현율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따라서 c-erbB-2 종양 유전자와 p53 종양 억제유전자가 자궁경부암의 암화에 관련이 있거나 또는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결과로 과발현이 동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들의 유전자가 발현되면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예후인자로서의 효용성은 적을 것으로 사료되며 예후인자와의 관련성 및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입증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고찰 및 5년생존율 등의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the oncogene and tumor suppressor gene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that is contribute to conversion and progression from normal cell to cnacer one. In the current study, expression rates of c-erbB-2 and p53 oncoprotein were analysed in biopsy tissues of uterine cervix to learn whether the expression rates of p53 and c-erbB-2 were related with prognostic factors. The c-erbB-2 and p53 expression rates of group with invasive cervical carcinoma versus control group were 53.6% vs 17.7% and 51.4% vs 9.7%, respectively. There was sta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of e-erbB-2 and p53 oncogene expression in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rcinoma(p<0.01). In comparison of invasive cervical carcinoma with CIN, there were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53 expression rates(51.4% vs 28.9%) and c-erbB-2 expression rates(53.6% vs 20.2%) and co-expression rates(31.1% vs 6.8%)(p<0.01). Also in CIN patients, CIN III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than CIN I and CIN II group(p<0.01). Among histologic cell types, the expression rate of p53 was higher in sqamous cell carcinoma than in adenocarcinoma. Except for the expression rate of p53 according to histologic cell typ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expression rates of c-erbB-2 and p53 were found according to age, clinical stage, lymph node metastasis in invasive cervical carcinoma(p>0.05). In conlcusion, c-erbB-2 and p53 oncoprotein are thought to be possible factors in the carcinogenesis of cervical carcinoma and correlate with progression of it. But continuous analysis and follow up of 5 year survival are desirable to determine the role as prognostic factor and correlation with prognostic facto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