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8
18.97.9.168
close menu
SCOPUS
Thyroid Disease during Pregnancy
안정자(JJ Ahn)
UCI I410-ECN-0102-2009-510-005364904

임신중에는 홀몬의 변화와 대사량의 증가로 갑상선 기능에 변화가 일어난다. 갑상선질환은 생식능력이 있는 여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임신중에 일어나는 생리적인 변화와 갑상선 질환을 감별하기 어렵다(Bisnoi & Sachmechi, 1996). 따라서 임신중 갑상선기능에 대한 검사결과에 올바른 해석, 진단이 필요하며, 치료에 있어서도 임신이라는 상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갑상선질환이 임신의 경과, 태아의 건강, 산후에 산모와 신생아의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임신과 출산 자체가 갑상선질환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이에 임신중 갑상선기능에 관한 검사,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산후 갑상선 기능장애, 및 갑상선 결절에 대해 고찰하고 조속한 진단과 치료로서 임신부와 태아의 이환율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고자 한다. 갑상선 결절은 젊은 여성의 1~2%에서 발견되고, 중요한 것은 갑상선 암의 위험이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이다. 갑상선 암의 유병율은 10~15%이며 , 따라서 TSH , 유리 T3 , antithyroid microsomal antibody검사와 초음파검사로서 병변을 검사하며 ( Kaplan , 1992 ) , 가장 중요한 진단적 검사는 fine-needle aspiration biopsy이다 ( Walker et al., 1995 ). 임신자체가 갑상선 암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 또한 갑상선 암이 임신경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Hod et al., 1989 ). 갑상선 암이 확인되고 전이된 병변이 없으면 임신 제 2 분기 , 또는 출산후에 곧 수술한다 ( Hamburger , 1992 ). 수술후 131I은 바람직하나 임신과 수유가 끝날 때까지 연기한다 ( Kaplan , 1992 ).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