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SCOPUS
임신에 합병된 난소종양에 대한 고찰
Ovarian Tumor Pregnancy
송종민(JM Song),김명철(MC Kim),구재석(JS Koo),박현희(HH Park),한상원(SW Han),이영진(YJ Lee),한혁동(HD Han),차동수(DS Cha)
UCI I410-ECN-0102-2009-510-005393547

1981년 7월 1일부터 1985년 7월 31일까지 만 14년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 기독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에 합병된 난소종양으로 산전, 산후 혹은 제왕절개술 시행시 우 연히 진단된 총 87례의 난소종양에 대해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여 병리검사상 난소종양이 확 진된 83례에 대한 임상 및 병리학적, 통계학적인 비교 관찰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1. 발생빈도는 분만대비 1:343이었고, 악성종양은 2례, 경계성난소종양은 4례로, 임신에 합병 된 난소종양의 발생빈도가 각각 분만대비 1:14218과 1:7109였다. 2. 연령분포는 19세에서 39세까지 가임연령에서 다양하게 분포하며 평균연령은 27.5세이었 고, 21세에서 34세사이의 연령균이 90.4%를 차지하였다. 평균 분만횟수는 0.78회였다. 3. 난소종양으로 인한 환자의 증상 및 증후는 하복부 불쾌감 및 동통이 33례(39.8%)이었고, 자각증상 없이 발견된 경우가 27례(32.5%)이었으며 기타 하복부 종괴촉지 9례(10.8%), 이미 난소종양을 알고 내원한 6례(7.3%), 질출혈 5례(6.0%), 요통 및 비뇨기 불쾌감이 각각 1례 (1.2%)씩을 차지했다. 4. 진단시기는 임신 제 일삼분기의 경우는 48례(57.9%), 임신 제 이삼분기의 경우는 10례 (12.0%), 제왕절개술시 우연히 발견된 19례를 포함하여 임신 제 삼삼분기에 진단된 경우는 23례(27.7%), 그리고 산욕기에 발견된 경우는 2례(2.4%)이었다. 5. 진단방법 중 내진과 초음파로 난소종양을 확인한 경우가 31례(37.9%), 초음파 만으로 진단 된 경우가 27례(32.5%)였으며, 제왕절개시술 시 수술시야에서 발견된 경우가 19례(22.9%)였 다. 타병원에서 진단된 후 전원된 6례(7.2%)를 포함하여 초음파와 내진으로 77.1%에서 진단 이 가능하였다. 6. 발생부위는 일측성이 73례(88.0%)였으며 양측성인 경우가 10례(12.0%)이었다. 21례의 기 형종 중양측성은 19.0%였고, 19례의 황체낭종 중 양측성은 26.3%였다. 7. 조직병리학적 분류에 따르면 황체낭종, 단순낭종, 부난소낭종을 포함한 양성종양이 78례 (92.8%)를 차지했다. 그 중 기형종이 21례(25.0%)로 가장 많았고, 황체낭종은 19례(22.6%)이 었으며, 단순낭종이 1례(13.4%)이었다. 그외 점액성 난소낭종이 8례(9.5%), 장액성 난소종 양이 7례(8.3%)였으며 악성종양이 2례(2.4%)였다. 8. 종양의 크기를 보면 평균 직경이 5cm 이하인 난소종야이 21례(25.0%), 6~10cm인 경우가 39례(46.4%), 11~20cm인 경우가 17례(20.1%), 직경 21cm이상인 거대종양도 6례(7.1%)를 차지 하였다. 9. 난소종양의 합병증 중 염전이 12례(14.5%), 파열이 4례(4.8%)로 임신중 응급개복하였으며 염전이 동반된 경우 응급개복수술 후, 만삭분만이나 만삭제왕절개술이 가능했던 경우는 58.3%였고, 전체 83례에서 만삭분만이나 만삭제왕절개술이 가능했던 비율은 84.1%로 응급수 술 후 태아에 미치는 합병증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5). 10. 자궁부속기 종양절제술 후 산과적 합병증은 44례 중 7례(15.9%)에서 발생하였다. 11. 분만방법은 질식분만이 20례(45.5%), 제왕절개분만이 17례(38.0%), 조기분만 4례(9.1%), 그리고 자연유산과 계류유산은 3례(6.8%)였다.

Large proportion of ovarian tumor in pregnancy belongs to benign, and thus malignant ovarian carcinoma in pregnancy remains a rare event. Recently, incidence of primary ovarian tumor complicated in pregnancy shows an increasing tendency in various literatures. Management of ovarian tumor in pregnancy has a crucial importance. The treatment depends on the multiple factors such as symptoms, complications, gestational weeks, possibility of dystocia and presence of malignancy, etc. In this study, clinical and pathologic review of the ovarian tumor in pregnancy including one case report of ovarian malignancy was present. The records of 83 ovarian tumors complicated in pregnancy among 28,435 deliveries were review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ne from July, 1981, to July 199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benign ovarian tumor in pregnancy was 1 in 343 deliveries. The incidence of malignant tumor and borderline malignancy was 2.4% and 4.8% of ovarian tumors complicated in pregnancy, respectively. 2) Mean age was 27.5 years, and the range was 19~39 years, 90.4% of this tumor was distributed among 21~34 years of age. 3) As to the initial chief complaints or the mode of presentation, low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were found in 33 cases(39.8%), no symptom including incidentally diagnosed -adenexal mass during the Cesarean section was 27 cases(32.5%); palpable mass in 9 cases(10.8%), known mass in 6 cases(7.3%), vaginal bleeding in 5 cases(6.0%), genitourinary discomfort in 1 case(1.2%), lumbargo in 1 case(1.2%), and fever in 1 case(1.2%). 4) 48 cases(57.9%) were diagnosed in the first trimester, 10 cases(12.0%) in 2nd trimester, 23 caes(27.7%) in third timester and during Cesarean section and 2 cases in puerperium. 5) According to mode of diagnosis, 31 cases(37.4%) were discovered during routine pelvic examination with abdominal or transvaginal ultrasonogram. Only ultrasonogram was applied in 27 cases(32.5%), when the tumors were not able to be diagnosed with physical examination due to small size or impalpable mass. 19 cases(22.8%) were diagnosed incidentally at the time of cesarean section. 6) According to location of tumor, unilateral tumor was 73 cases(88.0%),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site(p>0.05). Bilaterality was shown in 10 cases(12.0%). In all cases of teratoma, bilaterality was 19.0%. In all cases of corpus luteal cyst, bilaterality was 26.3%.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