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선행 제왕절개 후의 경질분만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Vaginal Delivery Subsequent to Cesarean Section
한신교(SK Han),정강우(KW Jung),김우성(WS Kim),조숙(S Cho),고승권(SK Koh),김구상(KS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91023

1986년 8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성남 인하병원에서 101명의 선행 제왕절개 임부에서 시도 분만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도분만은 선행 제왕절개 임부 중 101예(5.9%)에서 시행되었고, 그 중 경질분만은 95예 (94.1%)였으며, 응급 제왕절개분만은 6예(5.9%)이었다. 2. 선행 제왕절개의 적응증 중에서 난산에 의한 경우는 51예 중 48예(94.1%)가 경질분만에 성공하였고, 그 외의 다른 적응증이었던 50예의 경우는 47예(94%)에서 경질분만을 하였다. 3. 시도분만군 중에서 oxytocin이나 PG E2 를 사용한 20예에서 17예가 경질분만 에 성공하고 1예에서 태아절박증, 2예에서 난산에 의한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하였다. 4. 시도 분만군에서의 자궁파열과 열개의 발생 및 태아나 산모의 사망은 1예도 없었다. 선행 제왕절개 임부에서 시도분만은 비교적 안전하며, 계속 증가하고 있는 제왕절개의 빈도 를 줄여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has been increas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Recently, however, several problems with cesarean section have been reported. Many attempts to reduce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have been performed. One of them is vaginal delivery subsequent to cesarean section: Trial of Labor(TOL). We attempted TOL from August 1986 to April 1996 at Seongnam Inha hospital. It was a voluntary program for patients with a documented previous low-transverse cesarean section and no recurring indications. One hundred one cases from 1,706 pregnant women with previous cesarean section stat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Ninty five cases(94.1%) among 101 cases succeeded in vaginal delivery. The success rate of TOL was not influenced by the indication for previous cesarean section. There was no maternal death or uterine rupture in TOL. PG E2 or Oxytocin was administered for the induction or augmentation of labor in 20 cases and vaginal delivery was successful in 17 cases without complication. In conclusion, vaginal delivery subsequent to cesarean section may be safe, be encouraged in the patient with previous section under the adequate indi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