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0
18.97.14.80
close menu
SCOPUS
폐경후 여성에서 지속적 복합 호르몬대체요법시 Medroxyprogesterone Acetate가 혈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erum Lipid and Lipoproeins of Continuously Addin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to Conjugated Equine Estrogen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김정욱(JW Kim),김병석(BS Kim),장전호(JH Chang),전현아(HA Jeon),이경희(KH Lee),박만철(MC Park),이용우(YW Lee),윤종률(JL Yoon)
UCI I410-ECN-0102-2009-510-005369176

에스트로겐 호르몬대치요법시 자궁내막의 증식을 예방하기위해 병용투여하는 황체호르몬제제 중 비교적 안드로젠 성향이 낮은 MPA를 지속적 호르몬대치요법으로 사요하여 적은 용량으로 매일 투여할 경우, MPA가 혈중지질 및 지단백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자궁이 있는 폐경후 여성 15명에게 CEE0.625 mg과 MPA 2.5 mg을 6개월간 매일 지속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자궁의 양성 질환으로 자궁적출술 및 양측 난소절제술을 시행받고 폐경 상태인 16명의 여성에게 CEE 0.625 mg을 단독 투여하여 호르몬제제 투여전과 투여후의 혈중 지질 및 지단백질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혈중 총 콜레스테롤치는 대조군과 MPA병용투여군 모두에서 호르몬대치요법 시행 후 통게학적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2. 혈중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치는 두 군 모두에서 호르몬대치요법 시행 후 통계학적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3.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치는 호르몬 대치요법 시행후 두 군 모두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 4. 혈중 중성 지방치는 두 군 모두 호르몬대치요법 시행 후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5. 두 군간의 호르몬대치요법 시행후의 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호르몬대치요법시에 자궁내막의 증식을 예방하고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 호르몬요법시 사용하는 저용량인 MPA 2.5 mg의 지속적인 투여는 에스트로젠에 의한 혈중 지질 및 지단백질의 유익한 변화를 상쇄시키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한 이후로 MPA를 더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혈중지질 및 지단백질에 미치는 효과와 MPA외의 다른 황체호르몬제제(특히, natural progesterone인 utrogestan)를 사용할 경우 혈중 지질 및 지단백질치의 변화는 어떠한가에 대한 비교연구 및 각각의 황체호르몬제제가 한국인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n serum lipid and lipoproteins of adding continuously medroxyprogesterone acetate to conjugated equine estrogens in postmenopausal women. That is whether concomitant progesterone administration opposes beneficial effect of estrogen on lipoproteins whiles reducing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hyperplasia and cancer, or not. We studied on 31 menopausal women who had never hormonal therapy and no history of stroke, diabetes or any other cardiac, hepatic or renal disorker. Group A patients(n=16) were castrted postmenopausal women for at least 1 year and were given daily 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 for 6 months. Group B patients(n=15) received daily 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 and medroxprogesterone acetate 2.5 mg for at least 6 months. pre- and post-treatment evaluation of serum lipoprotein concentr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eclines in total cholesterol(10.35% and 12.34%)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24.21% and 28.13%) and significant increases high-density lipoprotein(16.18% and 11.69%) and triglyceride(23.59% and 25.40%) within group A and group B(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