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기능이 소실된 여성에서의 혈청 IGFBP들의 분포양상과 난소기능의 소실 및 연령이 혈청 IGFBP들의 강도 또는 분포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폐경전 정상여성 18명, 양측 난소절제술이 시행되었던 여성 34명, 자연폐경후 여성 15명, 조기난소부전증 환자 13명에서 혈청 IGFBP들을 Western ligand blotting과 면역침전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페경전 정상여성, 양측 난소절제술이 시행되었던 여성, 자연폐경후 여성, 조기난소부전증 환자의 혈청내 IGFBP들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다. 2. 양측 난소절제술이 시행되었던 여성에서 혈청 IGFBP-1과 IGFBP-3의 강도는 폐경전 정상여성의것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자연폐경후 여성에서의 혈청 IGFBP-2의 강도는 양측 난소절제술이 시행되었던 여성의 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자연페경후 여성에서의 혈청 IGFBP-2의 분포율은 폐경전 정상여성과 조기난소부전ㅈㅇ 환자에서의 것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혈청 IGFBP-3의 경우 조기난소부전증 환자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4. 양측 난소절제술이 시행되었던 여성에서 혈청 IGFBP들의 분포율은 조기난소부전증 환자의 것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IGFBP-4의 분포율의 경우 폐경전 정상여성의 것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5. 난소기능이 소실된 여성에서 혈청 IGFBP-2의 분포율은 연령과 유의한 양성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다른 혈청 IGFBP들의 농도와 분포율은 상관관계가 없었단. 이상이 결과로 보아 난소기능이 소실된 여성에서 혈청 IGFBP들은 특이한 분포양상을 보이며 난소기능이 소실 및 연령은 혈청 IGFBP들의 강도 또는 분포양상에 영향을 준다고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s(IGFBPs) profiles in women without ovarian function and to evluate the effect of aging and absence of ovarian function on serum IGFBPs profiles. Serum IGFBPs levels in 18 normal premenopausal women, 34 surgically castrated women, 15 natural postmenopausal women and 13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POF) were measured by western ligand blotting and immunoprecipit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size of serum IGFBPs were noted among group. Serum IGFBP-1 and IGBFP-3 levels in castrated wom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normal premenopausal women of similar ag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