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종양학부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에서 치료전 채취한 혈청과 자궁경부 세포를 이용한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자궁경부암 전구병변 환자 20명은 HPV-16에 양성이었고, 나머지 4명은 다른 아형의 DNA HPV가 있거나, 발견되지 않았다. 96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69명은 HPV-16 DNA, 9명은 HPV-18 DNA에 양성이었고, 그외 3명은 HPV-16과 HPV-18이 동시에 발견되었다. 또한 7명에서는 다른 아형의 HPV DNA가 있었고, 나머지 8명은 HPV DNA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HPV-16 L1, L2 VLP에 대한 ELISA 결과는 정상 대조군의 9%에서 양성이었고, 자궁경부 전구병변의 환자에서는 50%(12/24), 자궁경부암 환자의 62.5%에서 각각 양성으로 나타나 자궁경부의 종양성 변화가 있는 환자에서 유의한 진단적 가치가 있었다. 3. HPV-16 DNA에 양성인 자궁경부암 환자의 68%(47/69)에서 HPV-16 VLP ELISA에 양성이었고, HPV-18 DNA에 양성인 환자의 44%(4/9)에서 HPV-16 VLP ELISA에 양성이었으나 HPV-16/18이외의 다른 HPV 아형에 양성인 환자에서는 14%(1/7)에서 ELISA 양성으로 나타나서 HPV-16또는 HPV-18 DNA 양성인 환자들과 다른 종류 HPV DNA에 양성인 환자들 사이에서 항체 반응 여부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4. 자궁경부암 환자의 임상기와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HPV-16 VLP에 대한 항체 형성을 관찰해 본 결과 각 임상기와 조직형에 따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궁경부암과 전구 병변 환자들의 대다수에서 ELISA 방법으로 HPV-16 VLP에 대한 항체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HPV-16 VLP ELISA 검사는 HPV-16 DNA 검사의 보조진단법으로 유용하며, HPV와 연관된 자궁경부 종양성 질환의 혈청학적 역학 연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late structural proteins of HPV-16 have recently been shown to self-assemble into virus-lide particles(VLPs) from baculovirus system when expressed in insect cells. The ability to generate preparative amounts of HPV-16 L1-L2 VLP may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serologic assay to detect anti-HPV-16 infection. Method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serologic responses in the sera obtained from Korean women with cervical neoplasia by ELISA using HPV-16 VLPs. PCR method using L1 consensus primers and type-specific oligomer probes was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type of HPV infection in the study population(normal control; 23 cases, preinvasive lesions; 24 cases, and invasive cervical cancers; 96 cases). Result: 1) The sera of 93%(21/23) of women, who didn`t have HPV-ralated cervical lesions, were negative for HPV-16 VLPs in ELISA assay. The sera of 50%(12/24) of patients with preinvasive cervical lesion and 63%(60/96) of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were ELISA positive for HPV-16 VLPs(p<0.01). 2) The positive reactivities for ELISA of HPV-16 VLP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nor signific antly different. 3) Among women with cervical neoplasia, HPV 16 VLP was positive in 50%(10/20) of HPV-16 positive cases with preinvasive cervical lesion and 72%(50/72) of HPV-16 positive case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iderable number of patients with cervical neoplasia generated an IgG antibody response to the HPV 16 VLPs that can be detected by ELISA. These HPV-16 VLP ELISA may be useful in adjunctive diagnostic asay to HPV-16 DNA test and seroepidemiologic study of HPV-related cervical neopl-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