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SCOPUS
체외수정시술시 다태임신의 예방에 관한 연구 : 배아 등급과 누적배아지수의 의의
Prevention of Multifetal Pregnancy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 Significance of Embryo Grading and Cumulative Embryo Score
김석현(SH Kim),지병철(BC Jee),정경남(KN Chung),김희선(HS Kim),류범용(BY Ryu),오선경(SK Oh),문신용(SY Moon),이진용(JY Lee),장윤석(YS Chang)
UCI I410-ECN-0102-2009-510-005357174

저자들은 과배란유도를 이용한 체외수정시술시 다태임신을 유발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다태임신의 고위험군을 규명하고, 이에 따라 체외수정시술시 다태임신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예방하고자 1994년 1월 부터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불임크리닉에서 과배란유도 후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았던 428 주기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과배란유도를 이용한 체외수정시술시 배아이식당 임상적 임신율은 20.6%(88/428), 다태임신율은 8.2%(35/428)로서 임상적 임신당 다태임신율은 39.8%(35/88)이었다. 다태임신 35예 중 쌍태임신이 25예, 삼태임신이 5예, 사태임신이 5예 이었으며, 오태임신이상은 없었다. 2. 단태임신군과 다태임신군의 비교시 환자 및 환자 남편의 연령, 불임 기간, 불임의 원인 인자, 과저 체외수성시술 시행 회수, 혈중 E2 최고치, 채취된 난자의 수, 난자의 체외 수정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다태임신군에서 단태임신군에 비하여 배아이식시 자궁내이식된 배아의 수, 배아 중 우성등급 1,2의 비율, 누적배아지수(CES)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체외수정시술시 다태임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 규명되었다. 4. 쌍태임신은 2개 이상의 배아이식부터 발생하였으며, 삼태임신 이상은 6개 이상의 배아이식부터 발생하였다. 따라서 총 7회의 선택적 유산술도 모두 삼태임신 이상이 발생된 6개 이상의 배아이식시 시행되었다. 5. 배아이식시 배아의 우성등급이 좋을수록 임상적 임신율은 0%에서 34.1%로 향상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다태임신율도 0%에서 56.7%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성등급 5에서 임신된 예는 없었으며, 우성등급 4에서는 모두 단태임신만 발생되었고, 삼태임신 이상은 모두 우성등급 1,2,3에서만 발생되었다. 우성등급이 좋을수록 이식된 배아의 수도 1.7개에서 5.3개로 증가하여 다태임신율의 발생 증가에 이식된 배아 수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다. 6. 배아이식당 누적배아지수의 범위는 0-218이었으며, 누적배아지수가 10점 미만인 예와 145점 이상인 예에서는 임신이 성립되지 않았고, 다태임신은 34점 이상인 예에서만 성립되었다. 쌍태임신은 34점부터 삼태임신은 42점부터, 사태임신은 74점부터 성립되기 시작하였다. 7. 평균 누적배아지수는 임신군에서 70.4 +ㅐㄱ- 31.2 로서 비임심군의 45.5 +ㅐㄱ- 33.0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다태임신4ㅜㄴ에서 82.1 +ㅐㄱ- 29.5로서 단태임신군의 62.6 +ㅐㄱ- 30.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다태임신군내에서 쌍태임신군, 삼태임신군 및 사태임신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8. 구간별 누적배아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적 임신율은 43.8%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96점 이상인 군에서는 39.1%로서 다소 감소하였으며, 다태임신율은 계속 증가하여 96점 이상인 군에서 55.6%로서 제일 높았다. 9. 체외수정시술시 이식된 배아 수 6개 이상, 우성등급 1,2, 누적배아지수 96점 이상을 다태임신 발생의 고위협군으로, 우성등급 4,5, 누적배아지수 10점 이하와 145점 이상을 임신 발생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저임신율군으로 각각 규정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체외수정시술시 높은 임신율을 유지하면서 삼태임신 이상 다태임신의 발생을 최대한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다태임신의 고위협군과 저임신율군의 배아이식을 가능한 한 지양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multifetal pregnancy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 program, and this to avoid the unwanted maternal and perinatal outcomes of multifetal pregnancy. These various facto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53 singleton and 35 multifetal pregnancies in 428 IVF-ET cycles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1994. The clinical pregnancy rate(PR) per ET was 20.6% with the multifetal PA of 39.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of patients, age of husbands, duration of infertility, cause of infertility, number of previous IVF-ET trials, serum peak estradiol(E2) level, number of oocytes retrieved, and fertilization rate between singleton and multifetal pregnancie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ence of multifetal pregnancy were elucidatel as 1)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2) proportion of top grade 1 and 2 in grading of embryos, and 3) cumulative embryo score(CES), Multifetal pregnancies over triplet occurred only when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was 6 or more and top grade of embryos was 1,2, or 3. The singificant lin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p grade of embryos and clinical and multifetal PR. The ground clinical and multifetal PR were progressively increased with CES, with the highest multifetal PR in group with CES>=96. The high risk group of multifetal pregnancy was that 1)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was 6 or more, 2) top grade of embryos was 1 or 2, and 3) CES was 96 or more. The lower group was that 1) top grade of embryos was 4 or 5, and 2) CES was 10 or less and 145 or more. In conclusion, to maximize the clinical PR and prevent the multifetal pregnancy simultaneously in IVF-ET, the new options in the protocol of IVF-ET program should be adopted : 1) avoiding the high risk group of multifetal pregnancy and the lower PR group, and 2) us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such as cryopreservation, conculture in vitro, and assisted hatching of embryo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