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복강경하 미세 난관복원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utcome of laparoscopic microsurgical tubal anastomosis
윤태기(TK Yoon),성혜리(HR Sung),차선희(SH Cha),이정노(JN Lee),차광열(KY Cha)
UCI I410-ECN-0102-2009-510-005358833

저자들은 1993년 1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차병원 불임센터에서 33예의 복강경하 미세 난 관복원수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강경하 미세 난관복원수술의 임신성공율은 73.3%(22/30) 이었고 이중 4명은 이미 분만 되었고 3명은 임신초에 자연유산되었고, 15명은 현재 임신이 지속중이다. 2. 불임시술의 종류에 따른 수술예는 ring이 19예, cautery는 9예, pomeroy는 5예였으며, 임신 성공예는 각각 11예, 7예, 4예였다. 3. 난관의 복원부위에 따른 수술에는 cornual-isthmic 3예, isthmic-istmic 3 예, cornual-isthmic 3예, isthmic-ampulla 24예, cornual-ampulla 2 예, ampulla-ampulla 1예였으며 임신예는 3예, 2 예, 14예, 2예, 1예였다. 4. 복원수술 후 난관의 길이에 따른 수술예는 4cm 이하에서 6예, 5cm는 3예, 6cm 이상에서 는 24예였으며 임신예는 각각 4예, 1예, 7예였다. 5. 복원수술후 임신까지의 평균기간은 2.1+-0.3개월이었고 본 추적 기간중 자궁외 임신은 한 에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복강경한 미세 난관복원수술은 비교적 짧은 추적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임신율을 나타내었고, 복강경한 수술이 개복술에 비하여 여러 장점이 많이 있음을 감 안할 때 향후 수술기법의 발달과 미세수술기구가 더욱 개발된다면 이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시행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We evaluated 33 cases of laparoscopic microsurgical tubal anastomosis performed between December 1993 and December 1994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evious tubal sterilization method was bipolar cauterization in 9 cases tubal ring in 19 cases , and 5 cases of pomeroy method. 2. The anastomosis site in the favorable tube was isthmic-istmic in 3 cases , cornual isthmic in 3cases , cornual-isthmic in 3 cases isthmic-ampulla in 24 cases , cornual-ampulla in 2 cases , and ampulla-ampulla in 1 case. 3. The overall pregnancy rate was 73.3%(22/30) in a 4 month follow up period. 3 cases were excluded from pregnancy rate because 2 were in premartital status and one was lost during follow up. 4. The mean interval to conceiver from the operation was 2.1+-0.3 months 5. There was no ectopic pregnancy during our follow up period. 6.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considering the high pregnancy rate inspite of the short follow up period in our experience, this procedure could certainly replace the conventional open microsurge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