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SCOPUS
임신성 고혈압 환자에서 혈소판과 적혈구 용적비의 변화
Change in ratio of mean platelet volume/mean corpscular volume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신재인(JI Shin),김인배(IB Kim),김종호(JH Kim),이종승(JS Lee),이종건(CK Lee),나종구(JG Na),김수평(SP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87961

1993년 3월부터 1995년 3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73명의 정상 산모, 16명의 경증 임신성 고혈압 그리고 79명의 중증 임신성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임신 성 고혈압의 조기지표로서 RAT1 변화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혈소판의 형태변화에 대한 관찰을 함으로써 정상 임산부와 비교하고 간 기능 검사, 신 기능 검사, 자궁내 태아 발육 지 연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혈소판 용적은 정상 임신부에 비해 중증 임신성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평균 적혈구 용적은 정상 임신부에 비해 중증 임신성 고혈압군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 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3. 혈소판과 적혈구 용적비는 정상 임신부에 비해 중증 임신성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그리고 또 임신 32주 이후에 중증 임신성 고혈압에 발생했던 7례의 임신 28주이전 의 혈소판과 적혈구 용적비는 0.1004+-0.003으로 정상 임신부의 0.0987+-0.00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혈소판의 정상군 임신부에 비해 중증 임신성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PDW, RDW, RDW/PDW는 정상 혈압군, 경증 임신성 고혈압군, 중증 임신성 고혈압군에 서 세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임신성 고혈압 임신부에서 분만시 혈소판치가 감소할수록 IUGR분포는 증가하였고 RAT1 이 0.127이상이면 IUGR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임신성 고혈압 환자에서 분만시 ALT, AST creation치와 RAT1의 관계를 보면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RAT1이 증가할수록 혈소판수는 감소하는 역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Hematologic abnormalities that accompany preeclampsia and eclampsia have long been recongnized but their clinical significance in the prediction and monitoring remains controvertial. It was noted that the erythrocyte morphologic changes take place in the severe preeclampsia and that it might be caused by altered composition of the cell membrane and microangiopathic hemolysis. The platelet activation followed by its consumption plays an active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this disorder, Increase in platelet size was noted even though platelet count remains within the normal rang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mean platelet volume/mean corpuscular volume ratio(RAT1) in this disorder, RBC platelet morphologic parameters, RAT1 and the correlation between other laboratory and clinical marker and RAT1 were asses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platelet volu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ervere preeclamptic group compared with normal pregnant control(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