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SCOPUS
자궁내막암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Endometrial Carcinoma : Ten Years Experience
김원규(WK Kim),김현(H Kim),박은동(ED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92328

1984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10년간 고신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진단 및 치료를 한 총 70례의 자궁내막암 환자를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생빈도는 최근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5년을 주기로 볼때 첫 5년간은 25례, 후 5년간은 45례 발생하여 1.8배 발생빈도가 증가하였고 평균연령은 55.0세였으며 50대가 42.9%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2. 자궁내막암의 위험인자들과의 관계를 보면 폐경후 발생율이 68.6%, 비만은 20.0%, 불임증환자 17.1%, 고혈압 18.6%, 당뇨 7.1%, 다낭성난소 7.1%, 외인성난포호르몬 사용 1.4%를 나타내었다. 3. 병기는 제 1기암 57.8%, 제 2기암 10.9%, 제 3기암 15.6%, 제 4기암 15.6%의 분포를 보였다. 분화도는 grade I 47.5%, grade II 30.5%, grade III 22.0%의 분포를 보였다. 병리조직학적 유형은 선암이 80%, 선극세포암 6.2%, 선편평세포암 6.2%, 유두상선암 6.2%, 투명세포암 1.4%의 분포를 보였다. 4. 각 병기와 병리조직학적 유형 및 분화도와의 관계를 보면 에후가 좋은 제 1기암에서 선암과 선극세포암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세포분화도가 좋을수록 병기가 나타내고 있으며 세포분화도가 좋을수록 병기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5. 제 1기암에 있어서 자궁근층의 침범정도와 조직학적 분화도와의 관계는 본조사에서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예후와의 관계도 제 1기암 환자는 추적조사가 가능한 환자는 모두 생존하고 있어 상관관계를 조사할 수 없었다. 6.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한 례는 모두 12례있었으며 이중 1례에서 임파절 전이가 있었다. 7. 자궁내막암 환자의 2년 생존율은 75.0%였다. 병기와 2년생존율과의 관계는 제 1기암은 100%, 제 2기암은 60.0%, 제 3기암은 50.0%, 제 4기암은 33.3%였다(p=0.0007). 분화도와 2년 생존율과의 관계는 GI 93.7%, GII 50.0%, GIII 62.5%였다(p=0.13). 처음 진단시 환자의 연령과 2년 생존율과의 관계는 40세이하가 100.0%, 41-60세는 91.3%, 61세이상은 30.0%였다(p=0.001).

During the 10 years period from January 1984 to December 1993, 70 cases of endometrial carcinoma were encountered at Kosin Medical College & Medical Center. Out of 70 cases, 60 cases were treated primarily at our hospital. From these patients, 46 cases underwent surgicla treatment (12 cases, Radical hyste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or biopsy and 34 cases,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 and 12 cases received radiotherapy only and remaining 2 cases, one case received radiotherapy with adjuveant chemotherapy and one case was treated with ovulation induction. There were 52 cases with adenocarcinoma, 4 with adenoacanthoma, 4 with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4 with papillary serous adenocarcinoma and 1 with clear cell carcinoma. Among 70 cases, 36 cases wyre followed up at least 2 years and 2-year survival rate varied according of the following; stage of disaese-stage I 100%, stage II 60.0%, stage III 50%, stage IV 33.3%; tumor grade-grade I 93.7%, grade II 50.0%, grade III 62.5%; age-under 40 100%, between 41 and 60 91.3%, over 61 30.0%; the mean 2-year survival rate was 75.0%.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