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114.66
13.59.114.66
close menu
SCOPUS
트리코모나스질염 및 비 특이성 세균질염에서 Solco Trichovac의 치료효과
The Efficacy of Solco Trichovac Vaccine in the Treatment of Trichomoniasis and Non-specific Vaginitis
장석일(SI Jang),이근우(KW Lee),고영미(YM Ko),한상균(SK Han),이준모(JM Lee),남궁성은(SE Namkoong),김승조(SJ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79932

본 연구는 트리코모나스 질염 환자 22명과 비특이성 질염환자 9명을 대상으로 면역치료 요법의 일종인 Solco Trichovac의 치료 및 예방 유효성을 알아보고져 환자 혈청의 항체역가, 질내의 세포진 검사 및 pH를 동시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트리코모나스 질염 환자에서 백신 주사전 그리고 처음주사 1개월, 2개월, 3개월후의 환자혈청에서 응집가를 관찰한 결과 백신주사전 응집가는 평균 1:35, 주사후 1개월에는 1:161, 2개월에는 1:255, 3개월에는 1:269로서 3개월까지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비특이성 질염 환자에서는 백신주사전과 주사후 1개월, 2개월, 3개월 후으 환자혈청 응집가는 평균 1:48, 1:112, 1:167, 1:151의 응집가를 보였다. 3. 비 특이성 질염은 트리코모나스 질염 평균항체응집가와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응집가를 관찰하였다. 4. 트리코노나스 질염 환자에서 치유율은 wet sm-ear상 면역 주사후 1개월에 36.4%, 2개월에 18.2%, 3개월에 13.6%에서 트리코모나스 원충의 활동성이 관찰되어 3개월후 86.4%의 치유율을 보였다. 5. 비 특이성 질염 환자에서 치유율은 wet smerar성 면역 주사후 1개월에 33.4%, 2개월에 22.2%, 1개월에 11.1%의 clue cell이 관찰되므로서 최종 3개월후에 88.9%의 치유율을 보였다. 6. 비 특이성 질염의 항체 응집가는 트리코모나스 항체 응집가보다 비교적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치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7. 백신 투여후 비 특이성 환자의 질내 pH값은 투여전 평균 5.62에서 투여후 1개월에 4.96, 2개월에 4.81, 3개월에 4.61로서 최종 3개월에는 정상 질내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미루어 보아 Solco Trichovaccine은 트리코모나스 질염과 비 특이성 질염의 치료에 성과를 보여줌과 동시 최소한 3개월까지 혈청내 항체역가가 상승되므로서 에방적 차원으로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제로 사료된다.

Solco Trichovac is a vaccin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developed for treating trichomoniasis. The efficacy of the vaccine is reportedly clue to cross reacting antibody being produced in people immunized with the lactobacellus bacteria. We present a analysis of 22 patients with trichomoniasis and 9 patients with non-specific vaginitis who visitied out department between Jul.1992 and Oct. 1993 after vaccination with Solco Trichovac. Immunological and cytological examinaation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reatment in trichomoniasis and non-specific vaginiti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pecific serum agglutination titers in trichomoniasis increased from a basal mean level 1:35 to 1:161 after 1 month, 1:255 after 2 months and 1:269 after 3 months. 2. The specific serum agglutination titers in non-specific vaginitis increased from a basal mean level of 1:48 to 1:112 after 1month, 1:167 after 2 months and 1:151 after 3months. 3. The specific serum agglutination titers in non-specific vaginitis was relatively lower than in trichomoniasis. 4. The identification rate of trichomonas vaginalis decreased from 36.4%(8/22) after 1 months, to 18.2%(4/22) after 2 months and 13.6%(3/22) after 3 months. 5. The prevalence of demonstrated Clue cell in non-specific vaginitis decreased from 33.4%(3/9) after 1month, to 22.2%(2/9) after 2 months and 11.1%(1/9) after 3 months. 6. The initial mean pH value of 5.62 before the vaccination in non-specific vaginitis also dropped to 4.96 after 1month 4.81 after 2 months, and 4.61 after 3 months. The seresults now appear to be attributable to treat the trichomonas vaginalis infection and non-specific vaginitis, bu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fully evaluate the occurrence of reinfection or relaps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