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1 차적 수술을 시행한 FIGO 임상병기 I기와 II기 자궁내막암 환자에 있어서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에 관한 연구
Clinicopathologic Pregon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FIGO Clinical Stage I and II Endometrial Carcinoma Who Underwent Primary Surgery
배재호(JH Bae),고재환(JH Koh),한혁신(HS Han),김종훈(JH Kim),김병기(BG Kim),박상윤(SY Park),이의돈(ED Rhee),이경희(KH Lee),박기복(KB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93623

198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을 시행한 FIGO임상병기 I기와 II기 자궁내막암 환자 71명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앙 추적관찰 기간은 35개월(범위: 3-142)이었으며, 전체 환자의 3년 생존율은 87.5%이었다. 2. 수술후 FIGO 수술적 병기는 Ia가 20명(28.2%), Ib기가 19명(16.8%), Ic가 20명(28.2%), IIIa기가 6명(8.5%), IIIc가 3명(4.2%), IVa가 2명(2.8%), IVb가 1명(1.4%)으로 FIGO임상병기 I기 환자 8명(11.9%) 및 II기 환자 4명(100%)에서 수술적 병기가 높아졌다. 3. 환자의 치료 유형별로 보면 수술만 시행한 경우가 22명(31.0%),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42명(59.2%),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시행이 4명(5.6%), 수술 및 수술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격우가 3명(4.2%)이었다. 4. 자궁근층 침윤정도는 자궁내막에 국한되거나 1/3이하의 침윤을 보인 경우가 38명(53.6%)이었고 그 이상의 침윤을 보인 경우가 33명(46.4%)이었으며, 종양세포 분화도는 G1이 22명(31.0%) G2와 G3가 46명(64.8%)이었다. 병리조직학적 유형은 선암이 66명(92.3%)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유두선암이 3명(4.2%), 선편평세포암이 2명(2.8%)이었다. 5. 각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을 단변량 분석으로 비교한 결과 연령과 폐경여부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FIGO 임상(p=0.0008) 및 수술적 병기(p=0.0001), 자궁근층 침윤정도(p=0.0091), 종양세포분화도(p=0.0384)와 병리조직학적 유형(p=0.0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예후인자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경과 병리조직학적 유형과 임상병기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에후인자로 작용하지 않았고, 자궁근층 침윤정도(p=0.001), 종양조직의 세포분화도(p=0.001)와 FIGO수술적 병기(p=0.025)만이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평가되었다.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92,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in 71 patients for FIGO clinical stage I, II endometrial carcinoma, the impact on survival of age at diagnosis, menopausal status, FIGO clinical and surgical stage, myometrial invasion, tumor grade and histology was evaluat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At a median follow-up of 35 months(range 3-142), 5 patients had died, and therefore overall 3-year survival was 91%(66/71).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menopausal status did not influence survival, whereas FIGO clinical state(p=0.008), histology(p=0.0001), surgical stage(p=0.0001), myometrial invasion(p=0.0091) and tumor grade(p=0.0384) we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yometrial invasion(p=0.001), tumor grade(p=0.001) and FIGO surgical stage(p=0.025)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rviva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