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8
216.73.216.138
close menu
SCOPUS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자궁내막의 평가와 병리조직학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Endometrial Assesment by Transvaginal Sonogram and Histopathologic Correlation
강기주(GJ Kang),박상원(SW Park),조혜원(HW Cho),김경리(GL Kim),윤만수(MS Yoon),김원희(WW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49534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자궁내막의 평가와 병리조직학적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자궁내막병변의 선별 진단방법으로서의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1월부터 1993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54명의 환자에 대하여 질식초음파와 자궁내막 소파술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4명중 32명은 폐경후였고 22명은 폐경전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9세에서 72세였다. 2. 정상 자궁내막의 두께한도를 10 mm로 하였을 때, 자궁내막두께가 9 mm이하인 경우는 54명중 34명으로 이중 조직학적으로 병변이 있었던 경우는 3명이었으며, 10 mm이상인 경우는 20명중 18명에서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이때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는 각각 86%, 94%, 90%였다. 3. 정상 자궁내막의 두께한도를 5 mm로 하였을 때, 자궁내막의 두께가 5 mm이하인 여성 21명중 자궁내막에 병변을 가진 경우는 없었으며, 폐경후 여성군에서 33명중 자궁내막의 두께가 5 mm이하인 경우는 17명으로 모두 조직학적으로 정상 자궁내막이었고, 6 mm이상인 경우는 15명으로 이중 13명에서 병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는 각각 100%, 89%, 87%였다. 4. 질식초음파로 측정된 자궁내막의 평균두께는 자궁내막암의 경우 22.17 mm, 자궁내막 증식증의 경우 12.36 mm, 자궁용종의 경우 11.76 mm, 자궁농종(pyometra)의 경우 13 mm, 증식성 자궁내막의 경우 7.4 mm, 분비성 자궁내막의 경우 9 mm등으로 나타났으며, 위축성 자궁내막인 경우는 4.15 mm였고 정상 자궁내막의 폐경전, 후 비교는 폐경전인 경우(분비성 및 증식성 자궁내막 포함) 6.71 mm였고 폐경후인 경우는 3.63 mm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질식초음파의 이용은 질출혈, 특히 폐경후 질출혈을 주소로 한 환자의 자궁내막 병변을 선별 진단하는데 자궁내막 소파술과 같은 침습적 방법에 비해 보다 쉽고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불필요하게 시행되어 왔던 자궁내막소파술 등의 침습적 방법의 시행을 줄임으로써 이에 따른 위험성 및 합병증 감소 등의 이득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Comparison of ultrasound assesment and histopathology of the endometrium was made in 54 women. Of thee, 32 women were postmenopause and 22 were premenopause. Before endometrial sampling,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performed. Twenty one patients demonstrated endometrial thickness<=5 mm on transvaginal sonogram, and all of these patient had minimal tissue obtained on biopsy and a pathologic report of "tissue insufficient for diagnosis (five), proliferative endometrium (five), secretory endometrium (two), pyometra (one), polyp (three), endometrial hyperplasia (eleven), and endometrial cancer (six cases). If the cutoff limit for enodmetrial abnormality was 5 mm,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100%, sensitivity 100%, specificity 64%. in this study, the mean thickness of endometrium was 22.16 mm in endometrial cancer, 12.36 mm in endometrial hyperplasia, 11.67 mm in endometrial polyp, 13 mm in pyometra, 7.4 mm in proliferative phase, 9 mm in secretory phase and 4.15 mm in atrophic endometriu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