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3
18.97.9.173
close menu
SCOPUS
난소낭종 환자의 난소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Ovary from Ovarian Cyst Patients
한세준 ( SJ Han ) , 박석현 ( SH Park ) , 홍관표 ( KP Hong ) , 송경연 ( KE Song ) , 나윤정 ( YJ Rha ) , 이성동 ( SD Lee ) , 김왕수 ( YS Kim )
UCI I410-ECN-0102-2009-510-005382966

난소낭종 및 자궁근종 환자 난소에서 oxygen free radical 제거효소인 SOD,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활성도와 지질과산화산물인 MDA량을 측정한 결과 난소낭종 난소에서 자궁근종 난소에 비하여 SOD,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 및 MDA량은 증가된 경향을 나타냈으나, catalase 활성도는 감소되었다(P<0.05). 지질과산화산물인 MDA량을 평균 값보다 높은 (high MDA)군과 평균 값보다 낮은 (low MDA)군으로 나누어 MDA량 및 황산화효소의 활성도를 비교해본 결과 자궁근종 난소에서 MDA량은 high MDA군에서 low MDA군보다 약 3배가량 높게 나타났으며, SOD 활성도는 low MDA군에서 high MDA군에 비해 세포질 isozyme은 약 58%, mitochondrial isozyme은 약 53%의 효소활성도를 나타냈으며, glutathione peroxidase는 세포질효소는 low MDA군과 high MDA군사이에 유의한 효소활성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mitochondrial isozyme이 low MDA군에서 high MDA군의 약 63%의 효소 활성도를 나타냈으나 catalase 활성도는 low MDA군에서 high MDA군에 비하여 약 2배가 증가된 효소활성도를 나타냈으며, 난소낭종 환자 난소에서의 MDA량은 high MDA군 효소 활성도에 비하여 약간 감소된 경향을 나타냈으며, SOD 활성도는 세포질 isozyme은 low MDA군과 high MDA군 효소활성도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itochondrial isozyme은 low MDA군에서 high MDA군의 약 65%의 효소활성도를 나타냈으며, glutathione peroxidase는 세포질과 mitochondrial isozyme 모두 low MDA군에서 high MDA군에 비하여 낮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세포내 catalase 활성도의 증가는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나, glutathione peroxidase나 SOD는 억제하는 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지질과산화에는 hydrogen peroxide의 작용이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난소낭종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지질과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free radical mediated oxidations of biological molecules, membranes, and tissues are now accepted to be related with a variety of pathological events, cancer and aging. Natural defence mechanisms against oxygen free radical damage include superoxide dismutase(SOD),, which eliminates superoxide radicals;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hich eliminates hydrogen peroxide.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tumor cells. In this epxeriment, we measured the activities of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ovary from ovarian cyst and myoma uteri patients. The mean malondialdehyde level.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slightly decreased, but catalase was increased in ovarian cyst compared to myoma uterine patients. In high MDA group, the SOD activity was increased but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decreased compared to low MDA group of ovary from myoma uteri. In ovarian cyst, all antioxidant enzymes,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increased than low MDA grou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