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임상적 및 생화학적 위험인자를 이용한 포상기태 임신의 임상적 분류
Clinic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linico-Biochemical Risk Factors in Management of Untreated Hydatidiform Mole
정병헌(BH Jung),마수영(SY Ma),정재근(JK Jung),고광덕(KD Ko),김대훈(DH Kim),김승조(SJ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405735

1973년 3월 부터 1987년 2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부설 한국융모성 상피질횐연구환에 등록된 횐자로서 본 대학에서 처음으로 발견되고, 전혀 치료받지 않았던 포상기태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흡인소파술후 자연경쾌되었던 환자의 융모성 상피질환으로 이행되었던 환자로 구분지어 지금까지 잘 알려진 임상적 예후인자와 새로운 생화학적 예후인자를 이용하여, 양성화군과 악성화군의 조기진단적 분류를 위하여 두군을 비교 연구 하였으며, 다단계판별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된 인자를 토대로 새로운 분류표를 창안하고, 이에대한 진단적 가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을 결론을 얻었다. 1. 기존의 예후인자인 포상기태임신 환자의 분만력, 연령, 임신주수, 자궁의 상대적 크기, 병리조직학적소견을 양성화군과 악성화군을 비교하였는바, 분만력과 자궁의 상대적 크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생화학적 인자의 비교에서는 b-hCG, SP1, SP1/b-hCG(%), b-hCG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모든 인자를 다단계 판별분석법을 이용하여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본 결과 그 기여도는 PP10, SP1/b-hCG(%), b-hCG, 자궁의 상대적 크기, 조직 소견, 분만력 순이었다. 4. 이들 인자를 토대로 진단적 분류표를 작성하여 본 결과, 기존의 예후평가점수제에 비해 양성화 적중률, 악성화적중률 및 전체예측치가 각각 83.3%, 86.6%, 84.6%로 기존의 예후 평가제의 66.6%, 77.7%, 및 70.8%에 비해 정확성이 보다 높았다.

Forty nine cases (spontaneous remission 25, persistent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24) of untreated hydatidiform mole who were registered at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Trophoblastic Disease (KRI-TRD) in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were evaluated regarding clinical and biochemical risk factors such as -hCG, SP1, SP1/ -hCG(%), PP10, human placental lactogen, prolactin, and steroid hormones. And then, all factors were analyzed for measuring degree of discrimination used with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hrough SPS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clinical factors, parity and uterine size and weeks difference were different significantly(P<0.05)in student-tes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