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수정 시술을 위하여 과배란을 유도하기 전 월경 제 3일에 측정한 혈중 성선자극호르몬의 농도가 과배란유도 후 혈중 E2 농도, 흡인난포 및 성숙된 난자의 수에서 보이는 환자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 정상월경 주기를 가지고 있는 100명의 체외수정 시술 부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경 제 3일에 측정한 혈중 LH 농도는 11.06±4.57mIU/ml, 혈중 FSH농도는 14.15±5.18mIU/ml,혈중 LH/FSH비는 0.91±0.59였다. 2. 연령과 혈중 LH농도, 혈중 FSH농도 및 혈중 LH/FSH비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3. 월경 제 3일의 혈중 FSH농도가 높을수록 hCG투여 당일의 혈중 E2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월경의 혈중 LH농도 및 혈중 LH/FSH비와 hCG투여 당일의 혈중 E2농도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4. 월경 제 3일의 혈중 FSH농도가 높을수록 흡인난포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월경 제 3일의 혈중 LH농도와 흡인난포의 수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으며, 월경 제 3일의 혈중 LH/FSH비가 클수록 흡인난포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5. 월경 제 3일의 혈중 FSH농도가 높을수록 성숙된 난자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월경 제 3일의 혈중 LH농도 및 혈중 LH/FSH비와 성숙된 난자의 수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6. 연구결과 체외수정 프로그램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과배란을 유도하기 전 월경 제 3일에 측정한 혈중성선자극 호르몬의 농도는 과배란유도 후 혈중 E2농도, 흡인 난포 및 성숙된 난자의 수에서 보이는 환자의 반응을 예견하는데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월경 제 3일의 혈중 FSH농도가 높은 환자의 과배란유도 protocol작성시 FSH를 다량 투여하거나 GnRH analog를 사용하는 등 보다 적절한 과배란 유도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erum levels of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FSH), luteinizing hormone(LH), and the rations of LH/FSH on the third day of the menstrual cycle(MCD #3)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the responses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n vitro fertilization. One hundred patients for in vitro fertiliz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to December, 1988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erum levels of FSH, LH, and estradiol(E2) on the MCD #3 prior to administration of exogenous gonadotropins were tested by radioimmunoassay. And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e.g. 35 hours prior to follicular aspiration) the serum levels of E2 were tested. The number of aspirated ovarian follicles and preovulatory oocytes were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serum levels of FSH, LH, and LH/FSH rations on the MCD #3 and the serum levels of E2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aspirated ovarian follicles, and preovulatory oocytes were examined by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s are the results summarized. 1. Serum LH levels, FSH levels, and LH/FSH rations on the MCD #3 were 110.6±4.57mIU/ml, 14.15±5.18mIU/ml, and 0.91±0.59. 2. The serum levels of FSH, LH, and LH/FSH rations on the MCD #3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age of the patient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relation between FSH levels on the MCD #3 and E2 levels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as found. While, E2 levels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were not related to LH levels and LH/FSH rations. 4. The number of aspirated ovarian follicles was significantly telated inversely to FSH levels on the MCD #3, related positively to LH/FSH rations, but not to LH levels. 5. The number of preovulatory oocytes was ssignificantly related inversely to FSH levels on the MCD #3, but not to LH levels and LH/FSH rations. 6. In conclusion, serum gonadotropin (especially FSH) levels on the MCD #3 can predict the responses of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n vitro fertillization in terms of serum E2 levels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aspirated ovarian follicles and perovulatory oocytes. In the design of stimulation protocol in the patients with high basal FSH levels, alternate methods for proper stimulation using high doses of FSH or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analog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