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부터 1988년까지 9년동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혜화병원에서 분만한 9,095명중 187례의 선천성기형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출산아중 선천성기형의 발생빈도는 2.07%였다. 2. 산모의 연령별 기형 발생분포는 41셰이상에서 5.88%, 20세이하에서 4.23%였으며, 21~25세에서 1.55%로 가장 낮았고, 21세이상에서는 연령에 따라 기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3. 분만횟수별 기형 발생빈도는 4회 경산부에서 5.17%로 가장 높았으며, 분만경험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만횟수의 증가에 따라 기형의 발생빈도도 증가하였다. 4. 남녀별 기형아 발생빈도 남아 2.12%, 여아 1.99%로 남아에서 높았다. 5. 체중별 기형 발생빈도는 저체중아 4.01%, 성숙아 1.89%로 저 체중아에서 발생빈도를 보였다. 6. 사산아에서 기형아의 발생빈도는 13.74%로 출생아 1.71%에 비해 약 8배의 빈도를 보였다. 7. 기형아의 분만시 선진부는 2500g이상에서 비정상위가 5.03%로 정상아 3.72%보아 발생빈도가 약간 높았으나 2500g미만에서는 비정상위가 28.57%로 정상아 14.02%에 비해 약 2배가 높았다. 8. 기관별 발생빈도는 근 골격제 24.60%로 가장 높았고, 소화기계 15.51%, 순환호흡기계 14.97%, 중추신경계 11.76%, 다발성기형 11.23%, 비뇨생식기계 9.09%, 피부계 6.95%, 염색체이상 5.89%순으로 관찰되었다. 9. 기관별 기형아의 사망율은 33.15%(62/187)이고, 이중 중추신경계가 94.45%로 가장 높았고, 다발성기형 57.14%, 염색체이상 45.45%, 순환호흡기계 32.14%, 비뇨생식기계 23.53%, 근 골격계 8.96%, 순이었으며, 피부계기형아의 사망이 없었다. 10. 다발성기형중 가장 많이 동반된 기형은 근 골격계로 54.76%였으며, 동반된 기형이 2가지였던 경우가 29.56%로 가장 많았고, 여아가 21례중 13례로 더 많았다.
This report was based on the 187 cases of the congenital anomalies among 9,095 deliveries after 20 weeks gestation from Jan.1, 1980 to Dec.31, 1988 at Hae Wha Hospital.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were 187 cases (2.07 %) among 9,095 deliveries. 2.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of over 41 year old groups was 5.86 % and of under 20 years old group was 4.23 % and 21 ~ 25 years old group was lowest (1.55 %). 3.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according to parity was the highest in the para 4 group and increased as the parity increased except nullipara (2.33 %). 4. The frequency of the congenital anomaly in male (2.12 %)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1.99 %). 5. The incidence of congenitally malformed babies in prematurity (4.05 %) was higher than in matured babies (1.89 %). 6. The incidence of the congenital anomaly in the stillbirth was 13.74 %, which was about 8 times higher than that of live birth (1.71 %). 7. The incidence of the types of the congenital anomaly were 24.60 %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15.51 % in digestive system, 14.97 % in cardiopulmonary system, 11.76 % in CNS, 11.23 % in multiple anomaly, 9.09 % in urogenital system, 6.95 % in skin, 5.89 % in chromosomal anomaly. 8. The incidence of the abnormal presentation in the congenital anomaly was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newborns. 9. The incidence of the perinatal death of the congenital anomaly were the highest in the CNS anomaly 94.45 %, the next multiple anomaly 57.14 %, chromosomal anomaly 45.45 %, cardiopulmonary anomaly 32.14 %, digestive anomaly 24.14 %, urogenital anomaly 23.53 %, musculoskeletal anomaly 8.69 %, but none in skin anomaly. 10 .The multiple anomalies were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54.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