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SCOPUS
악성난소종양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Clinico-Pathological Studied on malignant Ovarian Tumors
구은주(EJ Koo),한병수(BS Han),송준(J Song),조성진(SJ Cho),김용철(YC Kim),박인서(IS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93294

1982년 1월부터 1988년 7월말까지 만 6년 7개월동안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악성난소종양으로 수술을 받고 병리조직학적 검사로 확진된 45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성난소종양의 발생빈도는 전 난소종양의 16.7%이었다. 2. 환자의 연령분포는 50~59세에서 가장 빈도가 높았고 평균연령은 45.6세이었다. 3. 환자중 무경산군은 28.9%이었고 원발성 불임증이 11.1%이었다. 4. 내원전 1년간의 월경이 규칙적이었던 예가 42.1%, 폐경이 35.6%, 생리적 무월경 6.7%였고, 월경장애를 나타낸 경우는 15.5%였다. 5. 자각증상은 복부종양 촉지가 62.2%, 하복통이 31.1%, 단순 복부팽대가 11.1%, 월경장애가 8.9% 순이었다. 6. 복수의 세포진검사의 양성율은 60%이었다. 7. FIGO 분류법에 의하면 제1기 64.4%, 제2기 8.9%, 제3기 11.1%, 제4기 15.6%이었다. 8. 난소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점액성낭성암이 19예로 42.2%, 장액성낭성암 13예로 29.0%로 Krukenberg종양이 5예로 11.1%, Dysgerminoma와 악성내막성상피암이 각각 2예로 4.5%, 과립세포종, 임파종, 혈관성육종이 각각 1예씩 있었다. 9. 병리조직학에 의한 악성난소종양의 양측성은 31.1%이었다. 10. 수술요법으로는 전자궁적출술과 양측난소 및 난관절제술을 시행한 예가 51.1%로 가장 많았고, 일측난소 및 난관절제술을 시행한 예가 26.7%, 전자궁절제술과 일측 난소난관절제술 예가 15.5%, 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소난관절제술과 대망절제술 예가 13.3%, 시험적 개복술과 생검만을 시행한 경우도 6.7%이었다. 11.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발열 5예, 창상감염 4예, 요로감염 4예, 장폐쇄 1예가 있었다. 12. 수술 및 보조적 요법을 시행한 예의 5년 생존율은 추적조사가 안되어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었다.

A clinicopathological studies were made on a series of 45 malignant ovarian tumor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82 to July 31,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malignancy was 16.7 % among all ovarian tumors. 2. The average age was 45.6 years ol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6th decade. 3. Patients of nulliparity and primary infertility occupied 28.9 % and 11.1 % respectively. 4. Previous menstrual cycles has been normal in 42.1 %, postmenopause in 35.6 %, physiologic amenorrhea in 6.7 % and some menstrual abnormalities in 15.6 %. 5. In relation to the clinical stages based on FIGO classification, stage I was 64.4 %, stage II in 8.9 %, stage III in 11.1 % and stage IV in 15.6 %. 6. Peritoneal cytology was reported as positive in 60.0 %. 7. Histologic incidence was as follow: mucinous cystadenocarcinoma in 42.5 %m serous cystadenocarcinoma 29.0 %, Krukenberg tumors in 11.1 %, endometrioid adenocarcinoma 4.4 %, dysgerminoma in 4.4 % and single case of malignant teratoma, granulosa cell tumor, lymphoma, hemangiosarcoma. 8. Bilaterality were noted in 31.1 % by microscopic examination. 9. Treatment was surgical, primarily and its principle was tot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ith or without omentectomy. Adjuvant treatments, chemotherapy with Mephalan or Cisplatin or CAP and external irradiation were performed. 10 It was difficult to get 5 year survival rate because of insufficient follow up stud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