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0
18.97.14.80
close menu
SCOPUS
황체의 EGF수용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s in human corpus luteum
이여일(YI Lee),위점숙(JS Wee)
UCI I410-ECN-0102-2009-510-005346104

황체에서 EGF수용체의 존재여부를 규명할 목적으로 10개의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의 난소를 황체와 난소간질조직으로 분리하고 EGF수용체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적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EGF수용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염색상 8개의 황체조직중 6예(75%)에서 양성반응을 보 였고, 10개의 난소간질조직에서는 전에에서 음성반응을 나타내어, 난소조직중 황체에 특이하 게 EGF수용체가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2. 황체에서와 면역반응 양성도를 황체기의 성숙도에 다라 비교해본결과 월경주기 16일째는 3예중 1예(33%)만이 약한 양성반응을 보엿고 17-18일째는 3예모두 약한 양성반응(+)을 나타 냈으며 20일재는 중등도의 양성반응(++) 그리고 22일째는 강한 양성반응(+++)을 각 1예에서 관찰하여 황체가 점차 성숙됨에 다라 양성율과 양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이상의 소견들로 미루어 보아 EGF수용체는 EGF와 결합하여 황체세포의 성장 및 분화와 호르몬생산의 조절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Eight corpora lutea and ten ovarian stomal tissues from ten cycling women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by Immunohistochemical with the use of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EGF-R could be localized in the luteal cells of six corpora lutea but not in two corpus leteums of day 16 and all ovarian stromal tissues examined.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specific receptors for epidermal growth factor are present in the human corpus luteum. The physiologic significantly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human corpus leuteum is unknown but epidermal growth factor may be involved in intragonadal regulation of luteal fun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