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자궁외임신의 임상통계학적 고찰
A clinico-statistically survey of ectopic pregnancy
이동섭(DS Lee),양기승(KS Yang),이경란(KR Lee),예재명(JM Yae),김성한(SH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92893

1983년 1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만 5년간 포항성모병원에 자궁외 임신으로 입원 수술한 환 자 197명을 대상으로 임상적고찰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분만건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26.6명이엇다. 2. 호발연령은 25-29세가 37.0%로 가장 많았고, 25-29세가 84.3%였다. 3. 분만회수는 2회가 33.5% 임신횟수는 2회가 21.3%로 분만과 임신횟수는 2회이상부터는 점 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산회수는 1회가 20.3%로 가장 많았고, 유산을 하지않은 경우 가 32.5%였다. 4. 기왕력은 인공유산이 67.5%, 복강경 불임시술이 12.2% 골반내염증 8.1% 반복자궁외임신 5.6%, 충수절제술 5.1%, 자궁내장치 3.6%, 난관성형술 1.5%순으로 나타났다. 5. 임상증상은 하복부동통이 96.4%, 질출혈 63.5%, 자궁경부동통 62.4%, 구역과 구토 12.7%, 현훈 10.2% shock 5.6%로 나타났다. 6. 착상부위는 난관이 97.0% 자궁경관 1.5%, 난소임신 1.0%(2예) 복강임신 0.5%(1예)였다. 7. 중절 양식은 난관임신중 난관파열이 73.3% 난관유산이 26.7%여다. 8. 임상증상 발현시기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6-8주가 32.0%로 가장 많앗고, 4-8주가 전체의 59.4%였고 12주이상이 2.0%였다. 9. 진단 방법은 다그라스와천자 양성이 93.9%엿으며 소변내 hCG양성이 81.1%로 나타났다. 10. 수혈량은 2pints가 23.3%로 가장 많았고 5pints이상이 12.2%였고 수혈을 받지 않은 경우 가 16.2%였다.

1. Hospital incin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26.6 delivery (197/5240). 2. THe age ranged from 25 to 39 years with the largest number (84.3%) 37.0% occuring in the 25 to 29 years age group . 3. Most frequency number of pregnancy and delivery was two times 21.3% nulligravida 33.5% respectively 4. In the past history comparising of 67.5% induced abortion 12.2% tubal sterilization 8.1% PID 5. In sign and symtom, lower abdominal pain was in 96.4% vaginal spotting or bleeding in 63.5% 6. Implantation site of ectopic pregnancy was on tube in 97.0% (ampullary 72.6%, isthmic 14.2%, interstitial 7.1% fimbrial 3.1%) on cervix 1.5% on ovary 1.0% on abdomen 0.5% 7. Tubal pregnancy were terminated by rupture in 73.3% by abortion 26.7%. 8. As far as the time onset symptom in concerned, they were developed initially with in 8 weeks after LMP in 77.2% and over 12 weeks in 2.0%. 9. culdocentesis was positive in 93.9% and pregnancy test in the urine was 81.1%. 10. 23.3% of total cases were transfused 2 pints 12.2% above 5 pints, 16.2% were not transfu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