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7
216.73.216.167
close menu
SCOPUS
인간난자의 체외수정 및 배아의 자궁내 이식후 B-hCG에 의한 임신예후 판정에 관한 연구
The significance of serum B-hCG levels as a predictor of pregnancy outcome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김학순(HS Kim),문신용(SY Moon),장윤석(YS Chang)
UCI I410-ECN-0102-2009-510-005349307

체외수정 및 배아의 자궁내 이식후 임신성공율은 약제의 종류 및 센타에 따라서 다양하지만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다. 더구나 이들 임신이 모두 만삭까지 유지되어 출산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일시적인 임신이나 자연유산 심지어 자궁외임신으로도 임신지속에 실패할 수 있다. 또 여러개의 배아를 자궁내에 이식하므로 다태아 임신의 가능성도 높다. 1. 임신지속의 실패율은 48.4%(15/31)로서 임신 제 1기 자연유산이 5예, 임상전기 유산이 8 예, 자궁외임신이 1예, 자궁경관 무력증으로 인한 임신 제 2기 유산이 1예있었다. 2. 임신 제1기 자연유산은 정상 단태임신에 비하여 혈청 B-hCG치가 배아이식 후 제 18일부 터 39일까지 계속유의하게 낮았으며 B-hCG치는 지수적 증가율 및 배증기간은 배아이식후 제 14-18일과 제 21-25일 구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전기 유산은 정상 단태임신에 비하여 혈청 B-hCG치가 항상 유의하게 낮았으며 지수 적 증가율 및 배증기간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시험관 아기 시술후 혈청 B-hCG를 측정함으로써 임상전기 유산 및 임상적 자연유산을 임신초기에 일찍 예측할 수 있으며, 임신이 정상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예후 판정이 배아이식후 제 18일부터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serum concentraiton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beta submint(B-hCG) were measured biweekly from 18 to 39 days after embryo transfer (ET) in 31 pregnancies achived by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rate of pregnancy loss was 48.4%, including 8 preclinical abortions 5 first-trimester spontaneous abortions, one ectpic cornual pregnancy, and one mid-trimester abortion due to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n comparison to the normal singletion pregnancy curve, preclinical and first-trimester spontaneous abort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B-hCG levels from day 11 and 18 respectively. The exponential rate of increase per day the doubling time of B-hCG levels of preclinical abortions ,compared with normal singleton gest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longer from day 11-14 These data suggest that serum B-hCG determinations on day 11 and 18 after ET may discriminate preclinical and impending clinical miscarriage from a normal gestation and a single B-hCG determination on day 18 will predict early normal development of an IVF pregnan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