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9월 1일부터 1986년 4월 30일까지 만 2년 7개월에 걸쳐 고려대학교 부속 구로병원 분만실에서 분만한 2495예중 54예의 선천성 기형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엇다. 1. 총 출산아중 선천성 기형아의 발생 빈도는 2.16%였다. 2. 남녀간의 발생빈도는 여아에서 약간 높은 발생율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3. 산모의 나이와 분만횟수에 따른 기형의 발생율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기형아에서는 자궁내 성장지연 및 미숙아로 인하여 2500gm미만의 저체중아가 7.32%로 2500gm이상의 성숙이 1.42%의 5배 정도 높은 비율로 보였다. 5.기형아에서는 둔위가 12.96% 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이나 기형아에서 저체중아가 많은 것 을 감암하여 보면, 둘사이의 차이는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6. 사산아에서 기형아의 발생은 20.27%로 출생아 1.61%에 비해 현저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7. 기형의 기관별 분포를 보면 근 골격계, 소화기계, 중추 신경계 순으로 기형이 호발하였다. 8. 총 기형아 54예중 11예(20%)에서 산전 진단이 가능하였다.
Clin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54 newborns with congenital anomlies among 2495 newborns delivered at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from sep 1. 1983 to April 30. 1986.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2495 newborns the incindence of birth with congenital anomaly was 2.16% 2. The incindence of congenital anomaly in female (2.25%)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1.87%) 3. It seems that the incindence of congenital anomaly was not related to maternal age and parity. 4. The incindence of congenital anomaly in low birth weight less than 2500 gm due to premature and growth retardation was 7.32% which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in mature biabies. 5. The incindence of breech presentation in congenital anomaly was higher than that in normal newborns . But it couldn`t be compared the two groups because of higher incindence of low birth weight in the group of congenital anomaly. 6. The incindence of congental anomaly in still birth was high such as 20.27% as compared with 1.61% in live birth 7. 51.87% of the cases were anomalies in musculoskeletal system 24.07% of the cases anomalies in digestive system and 22.22% of the cases anomalies in central nervous system. 8. Among 54 congenital anomalies 11 cases were diagnosed prenat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