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SCOPUS
양수 태변착색과 태아예후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Meconium Staining
최완주(WJ Choi),김훈기(HK Kim),박창서(CS Park),박인서(IS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408509

1. 1984년 5월부터 1985년 4월까지 만 1년간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분만된 총 1,033명의 출생아 중 태변착색의 빈도는 118(11.4%)명 였으며, 남녀 성별차이는 없었다. 2. 분만횟수와 산모연령에 따른 태변착색의 빈도는 36세이상이 가장 높고 또한 초산아에서 더욱 높았으며, 주산기 사망률은 36세 이상의 고연령에서 2.8배가량 높았다. 3. 재태기간이 태변착색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재태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태아체중이 2,500gm미만인 경우 12/136(8.8%)에 비해 3,000gm이상인 경우는 87/870(12.2%)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양막파열시간과 분만소요시간의 태변착색과의 관계는 양막파열시간이 길면 길수록, 또한 분만소요시간이 24시간 이상 지연될수록 현저하게 증가된 빈도를 보였다. 5. 태변착색군에서 태아심박 이상은 심한 농도의 태변착색의 경우 21예(56.8%)로 비착색군 228예(25.0%)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들에서 현저히 낮은 Apgar치를 나타냈다. 6. 분만방법은 흡입분만이 비태변착색군에서 9.6%, 태변착색군에서 30.5%로 현저히 증가되었고, 이는 태아의 분만 제 2기를 단축시키고 태아의 첫 호흡 이전에 적극적인 기도흡인술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7. 주산기 사망률을 비태변착색군의 13.1/1,000명에 비해 태변착색군의 경우에는 59.3/1,000명으로 증가하였다. 8. 태변착색으로 인한 신생아 이환 22예중 흡인성폐염이 10예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신생아 황달이 차지하였으며, 그밖에 미숙아 및 선천성 기형과 호흡장애 증후근 등은 별다른 의의를 보이지 않았다. 9. 산과적 합병증이 있는 경우는 총 118예의 태변착색군 중 39예(33.1%)였으며, 다음으로 과숙임신, 임신중독증과 빈혈, 그밖에 결핵, 매독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A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on meconium staining among 1033 deliveries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May 1, 1984 to April 30, 198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incidence of meconium staining was 118/1033(11.4%) with no sexual difference. 2. The highest rate of meconium staining was noted in the group of maternal age over 36 and primipara. Neonatal mortality in mothers over 36 year old was 2.8 times higher than in non-stained group. 3.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asing incidence of meconium staining which paralleled the fetal body weight and gestational age. 4. The rate of(and severity of) meconium staining also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labor or ruptured membrane exceeded 24 hours. 5. Abnormal fetal heart rate was increased in thick meconium stained group(56.8%) than non-stained group(25.0%). One minute and five minute Apgar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hick meconium stained group than non-stained group. 6. The most common mode of delivery in meconium stained group was vacuum extraction(30.3%) to shorten the second stage of labor. 7.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59.3/1000 infants in meconium stained group in comparison to 13.1 in non-stained group. The neonatal morbidity rate in the former group was 18.6% and most frequent complication was aspiration pneumonia(8.4%). 8. Among meconium stained group, 39 mothers(33.1%) had obstetric complications such as postterm,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emia and etc.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