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1986년 3월부터 9월까지 자궁경부 질환이 의심되는 1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가지 방식의 세포학적 표본제작방법, 즉 면봉도말법, Nuclepore여과법 및 세포군집절편법을 이용하여 얻은 세포학적 소견을 조직학적 긴단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면봉도말법에 의한 세포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진단사이의 만족스러운 일치는 78.0%(117/150)였다. 2. Nuclepore여과법에 의한 세포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진단사이의 만족스러운 일치는 86.7%(130/150)였다. 3. 세포군집 절편법에 의한 결과를 조직학적 진단과 비교시에 만족스러운 일치는 91.3%(137/150)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액체성 검사물을 이용하여 표본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써의 세포군집 절편법은,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암세포가 발견되며, 또한 암세포의 조직학적 배열을 암시하는 소견이 관찰됨으로 다른 세포학적 표본 제작법보다 가치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To obtain a marked improvement in yield and the reliability of cytological sampling, two cytopreparatory techniques including cell block technique and nuclepore filter technique were performed on 150 patients with squamous lesions of the uterine cervix. The acceptable accuracy including one degree of histologic variation was 91.3% for cell block technique, 86.7% for nuclepore filter technique. Quite enough and distinct cells prepared from these two cytopreparatory techniques gave us not only a higher detection rate compared to swab technique(acceptable accuracy, 78.0%) using cotton tipped applicator but also easy of cytologic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