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SCOPUS
복강경 불임수술 후 발생한 자궁외임신 18례
Ectopic Pregnancy After Laparoscopic Sterilization -An Analysis of 18 Cases-
김일선(IS Kim),조상원(SW Cho),이희동(IS Lee)
UCI I410-ECN-0102-2009-510-005371087

본 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1978년 3월부터 1982년 9월까지 54개월간 발생한 자궁외 임신 220예 중에서 난관 불임수술을 받은 후 발생한 자궁외임신 18예를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1. 난관 불임 수술후 발생한 자궁외 임신은 전 자궁외 임신 220명 중에서 18명으로 8.2%이었다. 2. 연령은 31세에서 35세까지에서 6명으로 가장 많았다. 3. 생존 자녀수는 평균 2.3명이었고, 인공 유산을 경험한 사람은 14명이었다. 4. 난관 불임 수술전 피임 방법은 경구 피임이 5명, condom 3명, 자궁내장치 2명, 주기법 2명이었으며, 피임을 하지 않은 경우도 4명이었다. 5. 난관 불임 수술을 받은 의료기관은 산부인과의원 12명, 가족계획협회 4명이었으며, 모두 산부인과 전문의에 의한 시술이었다. 6. 복강경 불임수술후 자궁외 임신이 발생할 때까지의 기간은 제일 짧은 경우가 3개월이었으며, 가장 길은 경우는 5년이었다. 7. 난관 불임 수술 방법중 전기 소작법이 14명, Siliastic band가 4명이었다. 8. 자궁외 임신이 발생한 난관에서 육안적 소견은 난관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6명, 반흔이나 협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12명이었다. 9. 자궁외 임신이 발생된 부위는 하협부 6명, 팽대부 6명, 난관채 4명, 간질부 2명, 상협부 1명이었다. 10. 개복시 수술은 반대측 난관을 포함시킨 경우가 6명, 반대측 난관 및 난소를 포함시킨 경우가 2명,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가 3명이었다.

An analysis of 18 cases of ectopic pregnancy which occured after laparoscopic sterilization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78 to September 1982 in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was done,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1. Among the 220 cases of ectopic pregnancy during the period, 18 cases were disclosed to occur after laparoscopic sterilization. 2.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31 to 35 years. 3.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2.3. 4. As the usual contraceptive method beofre tubal sterilization, oral pill was the most frequent one(5 cases), and in 4 cases thy used nothing. 5. The duration from tubal sterilization to ecopic pregnancy was 3 months to 5 years. 6. The methods of sterilization was mostly electrical cauterization(14 cases) and the rest was silastic band application(4 cases). 7. The affected tubes were separated completely at the sterilized site in 6 cases and scarring and norrowing in 12 cases. 8. Ectopic sites were distal isthmus(6 cases), ampulla(6 cases), fimbriam(3 cases), cornu(2 cases) and proximal isthmus(1 case). 9. At the surgery contralatera tube was removed in 6 cases, salpingo-oophorectomy in 2 cases and total hysterectomy in 3 cas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