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SCOPUS
중기임신중절
-Midtrimester Pregnancy Termination-
신승권(SK Shin)
UCI I410-ECN-0102-2009-510-005350211

중기임신중절이란 주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임신 13주부터 24 또는 26주까지의 임신을 중절시키는 것을 말하며 중기임신은 초기 임신과는 달리 큰 부피의 태아와 많은 자궁내용물, 성숙되지 않은 자궁경부, 분만촉진제에 대한 낮은 반응 등으로 인해, 임신중절시 높은 이환율과 사망율을 보이고 있다. 현대의학의 발달로 많은 중기임신중절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아직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방법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가능한 한 전기임신중절로 할 수 있으며, 모성 이환율과 사망율을 낮추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 모성 이환율과 사망율을 낮추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임신중절 결정의 지연, 임신유지의 금기증이 중기에 나타난 경우, 태아기형의 발견 및 산모의 무지, 수치심 등의 의학의적 요인으로 인해 중기임신중절이 필요한 경우 그 중절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안전성과 시간지연에 따른 합병증, 효과, 비용, 예후등을 고려해야 한다. 중기임신중절 방법은 수술적 적출(surgical evacuation)과 진통유발(induction of labor)로 2 대별할 수 있다. 수술적 적출로서는 1) 자궁절개술(hysterotomy) 2) 전자궁적출술(hysterectomy) 3) D & E (dilatation & evacuation)등이 있으며 진통유발 방법으로서는 1) 기계적 자극(mechanical stimulation) 2) 약막강내 고장성 용액 또는 약물주입(amnioinfusion of drug or hypertonic solution) 3) 자궁의 약물자극(extrauterine pharmacologic stimulation)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여러 방법들이 단독 또는 병합사용되기도 하는데 저자는 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의 장단점을 그 결과를 통해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기임신중절방법은 그 시기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제시 이용되고 있으나 그 어느 것도 현제까지는 안전성, 효과, 시간, 비용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권장되는 것은 없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자궁내용을 배출시 시술자의 불쾌감으로 인해 쉽게 선택되지 않는 단점은 있지만 중기임신의 초기인 13-16주에서는 D & E가 그 안전성과 비용면에서 권장될 수 있으며 충분한 경험과 숙달로 18-20주까지도 가능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중기임신의 후기중절은 제시된 여러방법의 결과가 임신주수의 차이, 합병증, 부작용의 선정기준 등이 달라 비교 권장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환자가 처한 상황, 지역적 차이, 병원설비 등 그 여건에 따라 중절 방법을 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장차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