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SCOPUS
유루무월경증후군의 평가
신용철(YC Shin)
UCI I410-ECN-0102-2009-510-005367581

유루무월경증후군(galactorrhea amenorrhea syndrome)은 Chiari씨의 보고이후 학계에 많은 관심을일으켰으나 Prolactin(이하PRL로 약함)이 분리정제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유집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이 호르몬을 방사면역측정 할 수 있게 되면서 고PRL혈증(hyperprolactinemia)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시상하부-뇌하수체의 정신내분비기전이 밝혀졌으며, 유루무월경증후군의 병적생리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 진보한 방사선진단기술과 PRL의 정밀한 측정 및 신경내비기능검사에 의하여 병인적 진단능력이 향상되었으며 transsphenoidal microscopic pituitary surgery 의 도입과 새로운 치료의학의 발달로 유루무월경증후군의 치료법이 특수해지고 세분되었다.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PRL분비선종과 다른 기능성 원인들의 감별은 물론 미세하수체선종(pituitary microadenoma)의 조기발견과 중구신경계의 기능이상을 국지화(localization)해야 한다. 유루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보며는 시상하부에서 PRL 억제인자의 성합을 방해하는 질환 및 약품 PIF의 운송을 방해하는 질환, PRL을 분비하는 하수체선종, 갑상선이나 성선의 기능이상을 포함하는 뇌하수체질환, 흉벽의 말초신경 손상이나 자궁적출술, 상상임신과 같은 신경성 자극 등이 있는데 이상은 모두 PRL의 과도한 분비를 일으키거나 PRL에 대한 반응을 위치하고 갑상선과 부신질환에 의하는 수도있다. 유루증환자가 발견되면 먼저 PRL의 혈중농도를 측정할 것이며 PRL값이 상승되어 있으면 병력과 이학적 소견을 참고로 고 PRL혈증에 적절한 해석을 내린다.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일차적으로 뇌하수체 호르몬의 기초수준과 시야를 측정하고 터키안의 다원단층촬영술과 기뇌촬영술과 경동맥촬영술등이 있고 내분비평가에는 성장호르몬과 성선자극호르몬의 여량(reserve)에 대한 시험과 시상하부-하수체-부신 축의 시험 그리고 PRL의 자극 및 억제시험이 포함된다. 저자는 유루무월경증후군의 진단 및 기능적 평가방법을 중신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