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문헌고찰과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볼 때 소파술은 어느 정도의 위험을 내포하므로 가임연령의 여성에게 적절한 피임법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시켜 되도록이면 피임을 목적으로 한 소파술은 감소시켜야겠으며, 피임 실패 또는 다른 이유로 중절을 필요로 할 경우는 비교적 위험부담이 적은 조기중절을 권장함이 바람직한 일이다. 또한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일반의원에서 예비검사와 다른 검사실 검사를 충분하게 실행하기 어려우므로 상세한 병력과 의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선택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고시에 대비하여 적절한 약제와 장비를 준비해야 한다. 원추절제는 질확대경하 생검법으로 사용빈도가 많이 감소되었으나 질확대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원추절제를 필요로 하며, 상피내암의 경우 자궁적출술이 원칙적인 치료방법이나, 추후검사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젊은 부인에서는 원추절제로서 대신하기도 한다. 원추절제는 외래에서 시행할 수도 있으나 2~3일 정도 입원하는 것이 안전하다. 복강내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보조방법으로 복강천자를 시행하며 부인과에서는 더글라스와 천자도 동일목적으로 사용된다. 복강천자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복강세정이 사용되나 의식상태가 나쁘거나 장 유착이 있는 경우는 위양성이 많으며 시간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흉강천자시 늑간 혈관과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녹간 하단부에 천자해야 하며 한번에 대량 천자를 하지 않도록 한다.